새 먹거리 급한 보험사들…"M&A로 덩치 키워야" [보험산업 구조개혁 골든타임②]

입력 2025-02-19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18 18:3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포화’ 보험업권, 신성장동력 요양사업 주목
요양시설 규제, 비용 등 부담 중소형사 진출 어려워

▲KB골든라이프케어 요양시설 '은평 빌리지' (사진제공=KB라이프생명)
▲KB골든라이프케어 요양시설 '은평 빌리지' (사진제공=KB라이프생명)

국내 보험사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성장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역대급 실적 이면에는 새로운 회계제도(IFRS17) 도입 효과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한국의 인구학적 문제는 보험사들에 변화를 요구하는 도전적 환경이다. 새로운 먹거리를 통한 돌파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보험사는 요양사업을 유망한 신사업으로 주목하고 있다.

KB라이프, 신한라이프 등이 요양사업에 적극적이다. 생보업계 최초로 요양산업에 진출한 KB라이프 자회사 KB골든라이프는 2017년 서울시 강동구, 송파구, 서초구, 종로구 등에 요양시설을 열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요양 시설 ‘광교 빌리지’ 입소 신청을 접수했다.

신한라이프는 지난해 1월 자회사 신한라이프케어를 설립해 요양사업에 나섰다. 같은 해 11월 장기요양시설 ‘분당데이케어센터’를 개소했고, 올해 하반기 중으로 경기도 하남에 요양시설을 오픈할 계획이다.

후발주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삼성생명은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요양사업을 전담하는 ‘시니어리빙 태스크포스(TF)’를 ‘시니어 비즈’팀으로 격상해 적극적인 요양사업 전개를 예고했다.

하나생명은 지난해 이사회에서 요양사업 자회사 설립 안건을 의결해 올해 하반기 주간보호센터 사업, 내년 하반기 요양시설 건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KDB생명도 지난해 12월 임차권을 이용한 주간보호센터 개설, 운영 및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등의 부수업무를 금융당국에 신고했다. 올해 경기도 고양시와 광주광역시에 KDB케어센터를 갖추고, KDB케어서비스 등 특약상품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보험사들이 요양산업을 정조준한 배경에는 보험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하는 등 전통적인 수익모델로는 지속적인 성장이 어렵다는 판단이 깔렸다. 장기요양보험이나 건강보험 등 기존 고객 기반을 활용하는 등 시너지 효과도 있어 진입장벽의 부담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중소형 보험사들에 요양사업은 그림의 떡이다. 요양시설 설치, 인허가 과정에서 소요되는 큰 비용과 시간이 걸림돌이다. 현행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요양시설 사업자가 30인 이상 요양시설을 설치하려면 토지·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 부지를 임차해야 한다.

앞서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보험개혁회의를 통해 재가 노인복지시설을 설치할 때 토지·건물을 임차해도 부수업무로 신고가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했으나 요양시설 설립과 관련한 규제는 그대로다.

규제 개선과 함께 보험사들의 체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이 효과적인 수단으로 지목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 M&A가 단순히 기업 간의 통폐합이 아닌 새로운 산업으로의 물꼬를 틀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M&A를 통해 체급을 키운 보험사가 보험시장이나 신사업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횡보장 언제까지…“반등 시점 곧, 장기 전망은 여전히 맑음”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티웨이, 대명소노 품에 안기나…긴장감 높아지는 항공업계
  • 故 김새론, 오늘(19일) 발인…유족ㆍ친구 눈물 속 영면
  • “中 반도체 굴기,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소상공인 카페 매출 10% 급감 vs 스타벅스 사상 최대 실적 [소비재 시장 양극화]
  • [상보] 우크라 종전 가속화…트럼프 “아마도 이달 내 푸틴 만날 것”
  • 이하늬 60억 냈는데…연예계 세무조사, '먼지 하나' 안 나온 사람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645,000
    • -0.57%
    • 이더리움
    • 4,016,000
    • -2.97%
    • 비트코인 캐시
    • 475,800
    • -2.52%
    • 리플
    • 3,854
    • -3.63%
    • 솔라나
    • 254,100
    • -5.26%
    • 에이다
    • 1,136
    • -6.5%
    • 이오스
    • 923
    • -3.75%
    • 트론
    • 361
    • +0.28%
    • 스텔라루멘
    • 486
    • -3.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00
    • -5.61%
    • 체인링크
    • 26,850
    • -6.48%
    • 샌드박스
    • 541
    • -8.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