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실무진 부담 우려에 "단기 성과주의 탈피해야"
금리 인하 전망 "1분기부터 인하 효과 나타날 것"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금융 내부에 현실적으로 파벌이 존재하고 현재 내부 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 회장이 갑자기 물러나게 되면 거버넌스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 될 때마다 사석에서 많이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현재 진행 중인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는 별개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긍정적이더라도 거버넌스나 관리 역량에서 외연 확장을 해도 되는지에 대한 통철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고, 나쁘게 나온다고 해서 (보험사 인수가) 기계적으로 절대로 안 된다고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진행 중인 경영실태평가에서 현재 2등급인 우리금융이 3등급 이하를 받으면 동양생명ㆍABL생명 인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최종 결정 권한은 금융위원회에 있다.
그는 "금융당국 입장에서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회장이나 행장 입장에서 보면 본인들이 직을 걸고 체질 개선,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되묻기도 했다.
관련 뉴스
이 원장은 최근 전·현직 임직원이 연루된 부당대출이 발생한 기업은행에 대해서도 엄정 조치를 예고했다. 그는 "기업은행의 문제는 온정주의나 외연 확장 주의에서 비롯됐다"며 "굉장히 심각하게 생각하며 큰 책임을 물으려고 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금감원의 내부통제 강화 조치가 금융회사 실무진의 업무 부담만 키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그러나 이 원장은 "창구 직원의 애로사항은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본점의 KPI(핵심성과지표) 설정이나 단기 성과주의로 운영되면 지금과 같은 사고들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CEO(최고경영자)와 경영진이 단기 실적 압박을 완화하고 내부통제가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야 실무진도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최근 '일부 은행의 CEO 선임 과정에서 아쉬움이 있었다'는 언급이 3월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특정 금융사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특정 금융사나 특정 CEO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다"며 "주요 선진국 이사회의 기능처럼 더욱 투명하고 체계적인 거버넌스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1분기에 소비자들이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시중금리가 움직이려면 6개월 정도 걸린다고 보고 있다"며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됐으니 올해 1분기 정도부터 그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싶다"라고 내다봤다.
그는 "정부 정책과 시장 환경을 고려할 때, 보다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가계대출 시장에서도 자연스러운 금리 하락이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원장은 애플페이 도입 확대로 삼성페이 등에서도 수수료가 발생해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로써는 카드사가 추가 흡수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된다"면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향후 수수료 정책 변화에 대해 카드사들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