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금융 지분 매각 공고를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아직 민영화 절차를 의결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날짜조차 잡지 못한 상태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 관계자는 "6월말까지 매각 공고를 낸다는 방침은 현재까지 변함없다"며 "다만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들간 토론이 더 필요하고 해외 출장 등 개인 일정 등을 조율하느라 날짜를 확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매각 공고에는 최소한 무엇을, 어떻게 팔겠다는 내용이 포함된다"며 "과거 서울은행이나 조흥은행 매각 때의 방식을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각 공고에는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분리매각하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56.97%)은 투자제안서를 받아 경쟁입찰하겠다는 뜻이 담길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는 2002년 조흥은행 지분 매각 때도 공개입찰을 진행해 우여곡절 끝에 신한금융지주를 최종 선택했다. 그 해 서울은행 지분을 팔 때도 경쟁입찰을 실시해 하나은행과 론스타가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한편 정부는 우리금융 지분을 경쟁입찰을 통해 전략적 투자자에게 우선 매각하되 적절한 전략적 투자자가 없으면 분산 매각도 고려한다는 견해를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에서 보듯 통상 입찰은 1단계와 2단계로 진행된다"며 "(우리금융도) 시장 수요를 보고 중간에 (입찰 대상 등을) 바꿀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로서는 전략적 투자자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지배지분을 파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자금 능력 보유 등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이 작다. 이는 정부지분 가운데 절반인 28.5%만 팔아도 3조5000억~4조원가량이 들기 때문에 자금능력을 보유한 곳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지분을 5~9%씩 쪼개 분산 매각하는 방식은 '공적자금 극대화'라는 민영화 취지에 맞지 않아 정부가 1순위로 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회사간 주식 맞교환 방식에 의한 합병론이 재부각되고 있다. 이 방안은 한동안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다가 최근 세계적인 은행 대형화 규제 흐름과 맞지 않고 합병 이후에도 정부 보유 지분이 여전히 20~30%가량 남아 진정한 민영화가 아니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도 맞지 않다는 지적 때문에 후순위로 밀리는 듯했다.
하지만 '세계 50위권 은행 출현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우리금융과 합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경쟁입찰에서 합병을 제안할 가능성도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