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통화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경제 둔화 우려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달러가 상승할 것이며 상대적으로 아시아 통화는 약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주요 통화 중 한국 원화와 대만 달러의 하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통화가 증시와의 연동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경기불안에 따른 증시 조정이 통화 가치 하락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위안과 일본 엔, 홍콩 달러 가치는 상승할 것으로 점쳐졌다.
엔은 달러와 함께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매수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위안은 중국 정부가 통화 가치 하락을 방치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의 지난달 무역흑자가 두배 이상 증가하면서 미국 등 선진국의 위안절상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위안 가치 상승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DBS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오는 11월 미국의 중간선거를 앞두고 위안 절상과 관련된 양국의 갈등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했다.
홍콩 달러는 위안화 강세와 맞물려 가치가 상승할 전망이다.
연방준비제도(Fed)가 사실상 제로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고수하고 있다는 사실도 엔과 위안, 홍콩 달러의 강세 요인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내년 상반기까지 현재 저금리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6월까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10% 반영하고 있다. 이는 전주의 25%에서 절반 이하로 낮아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