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아스팔트 제조온도를 현재보다 30℃ 낮춰 석유연료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차량 지정체 시간을 크게 줄이게 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160∼170℃의 고온에서 생산되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130∼140℃ 온도범위에서 생산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공법의 생산 및 시공지침'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통해 석유연료 사용 및 유해가스(이산화탄소,황산화물 등)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기존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약 2억6000만ℓ의 벙커-C유 중 30%인 7800만ℓ를 절감하며,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연간 약 80만톤에 이르는 것을 약 30만톤 저감(탄소 배출권 60억원, 소나무 6,000만 그루의 식목효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따.
여기에 공사시간 단축으로 차량 지정체 시간을 약 25%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경제적 효과는 연간 약 700억원 정도인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국토부 관게자는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의 보급 및 조기 확대를 위해 세부적인 활성화 대책을 마련, 도로 건설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운전자 및 주민들의 불편 감소 및 대기환경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