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박(非박근혜) 대권주자인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이 경선룰 변경, 경선일자 연기 등에 있어 자신들의 입장을 하나도 관철시키지 못한 채 고립되자 당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외부 명망가와 연대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대항마를 내거나 최악의 경우 탈당을 감행, 제3후보들과의 오픈프라이머리로 자체 후보를 세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은 29일 룰 변경 없인 경선에 불참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다만 이들은 탈당에 부정적 의사를 피력한 만큼, 외부 인사를 당으로 영입해 1차 단일화한 뒤 ‘비박 대표후보’로서 체면을 세우고 경선에 참여하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사실상 물 건너간 상황에서 외부 인사가 지지기반이 약한 당에 들어올 가능성이 낮고, 비박 주자들이 경선을 흥행시켜 박 전 위원장을 의도치 않게 돕진 않을 것이란 점에서 현실성은 극히 떨어진다는 평이다.
더 유력한 건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의 탈당설이다. 이들이 탈당한 뒤 정운찬 전 총리, 박세일 전 국민생각 대표 등과 뭉쳐 오픈프라이머리로 후보를 뽑아 박 전 위원장에 맞설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은 이번이 사실상 마지막 대권도전으로, ‘포스트 박(朴)’으로 치켜세워지고 있는 김문수 경기지사보다 절박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명분도, 승산도 충분하다는 계산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박 전 위원장의 횡포가 심해 이들의 탈당 가능성은 60%”라면서 “이들은 바깥에서 오픈프라이머리로 인기를 끌면 박 전 위원장을 넘기는 건 순식간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자신들이 중도를 잡을 수 있다고 본다”면서 “또 박 전 위원장을 흔들어 떨어뜨리면 97년 대선의 이인제 후보처럼 오히려 정치적 입지가 넓어진다”고 말했다.
한편, 이들 모두 극적으로 경선에 참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딱히 돌파구를 찾지 못할 경우엔 ‘당을 위한 대승적 결단’임을 앞세워 참여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실제로 당 지도부와 친박(박근혜) 인사들은 현 당헌·당규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국민참여 선거인단을 대폭확대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 이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명분 만들어주기에 나섰다. 당 관계자는 “친박 핵심 의원들이 직접 나서서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