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자녀 정책’으로 노동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저성장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왔다고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마젠탕 국장은 “중국의 지난해 노동가능인구가 9억3727만명으로 전년에 비해 345만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노동가능인구가 줄어든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면서 “중국 경제성장률이 7~8%를 기록하는 것은 이런 인구학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7.9%로 2년 만에 반등했지만 지난해 전체 성장률은 7.8%로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중국 경제 담당 대표는 “과거에 사람들은 중국이 대규모 실업사태를 막는 등 고용시장의 안정을 지속하려면 8%나 10%의 높은 성장률이 불가피하다고 믿었다”면서 “그러나 인구학적 변화는 이런 성장에 대한 요구를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오는 2020년까지 중국의 잠재적 경제성장률은 6%대로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은행(WB)은 지난해 2월 보고서에서 “중국이 경제개혁에 성공하더라도 경제성장률은 오는 2016~20년에 연평균 7.0%를 기록하고 2021~2025년에는 5.9%로 둔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동가능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인구학적 변화가 장기적인 중국의 경기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엔은 오는 2015~2025년 10년간 중국에서 15~59세 연령대 인구는 약 2400만명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의 노년층은 66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지난 1979년부터 ‘한자녀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령화 등을 완화하기 위해 이 정책을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