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워진 바닷물…김 생산 늘고 멸치·고등어 덜 잡혔다

입력 2013-08-20 10:57 수정 2013-08-21 10: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계청 조사결과…올해 상반기 어업생산량 1.7% 감소

우리나라 연근해의 저수온 현상으로 김·다시마 생산은 늘었지만 멸치·고등어의 어획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3년 상반기 어업생산동향 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멸치 생산량은 6만8544톤으로 지난 상반기의 8만6639톤보다 20.9% 줄었다. 고등어류도 작년 4만1988톤에서 35.4% 감소해 2만7141톤 생산에 그쳤다. 전갱이류는 5822톤을 기록해 73.9%나 감소했고 굴류와 살오징어류도 각각 44.5%, 43.9% 줄었다.

이처럼 멸치와 고등어와 같은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이 줄어든 것은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의 수온이 낮아진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바닷물이 차가워짐에 따라 삼치류(19.2%), 정어리(291.7%), 붉은대게(18.9%), 젓새우류(137.5%) 등 한류성 어종의 생산량은 크게 늘었다.

▲연도별 상반기 어업생산량 추이(자료=통계청)
올해 상반기 어업생산량은 182만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5만1000톤 보다 3만1000톤(-1.7%) 줄었다. 종류별로는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 감소로 연·근해 어업 생산량(36만7000톤)이 작년보다 17.6%(7만9000톤)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내수면어업의 경우도 겨울철 추위로 어로활동이 중단되고 양식 생산이 줄어 1400톤(10.4%) 감소했다. 원양어업은 태평양 해역의 황다랑어 조업 부진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300톤(0.1%) 줄었다. 이에 반해 천해양식어업(바다양식)은 해조류 양식 시설면적이 늘어난데다 김·다시마 등 해조류 양식에 알맞은 수온이 유지돼 작황이 좋아져 4만9000톤(4.5%) 늘었다.

상반기 어획량 감소로 생산금액은 지난해 상반기(3조 7060억원) 보다 7.7%(2872억원) 줄어든 3조 4188억원에 그쳤다. 통계청은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kg당 가격이 높은 어류의 생산량이 뚝 떨어져 어업별로 생산금액이 모두 줄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용, 샘 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 ‘AI 동맹’ 구축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올해 1만 원 더 인상된 문화누리카드…신청하고 문화생활 혜택받아볼까 [경제한줌]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트럼프 관세 발효에...중국, 즉각 보복관세·구글 반독점 조사 맞대응
  • 오픈AI 만난 카카오…AGI 시대 앞당긴다
  • 이번에는 석굴암 조명…국립중앙박물관 굿즈 '뮷즈' 품귀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832,000
    • +1.3%
    • 이더리움
    • 4,223,000
    • +3.68%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1.59%
    • 리플
    • 3,905
    • +5.06%
    • 솔라나
    • 318,500
    • +2.54%
    • 에이다
    • 1,139
    • +3.64%
    • 이오스
    • 909
    • -0.22%
    • 트론
    • 340
    • -3.13%
    • 스텔라루멘
    • 532
    • +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3.72%
    • 체인링크
    • 30,630
    • +3.13%
    • 샌드박스
    • 609
    • +2.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