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장 우수한 민원행정을 제공한 기관은 행정안전부, 서울특별시, 경기 하남시, 충북 음성군, 서울 동대문구, 인천광역시교육청 등 6곳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난해 307개 행정기관·지자체 대상 민원 서비스 종합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민원서비스 종합평가는 행정기관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부 업무 평가의 일환으로 매년 실시하며, 등급은 상위 10%인 '가' 등급부터 하위 10%인 '마' 등급까지 다섯 개로 나뉜다.
이번 평가에서는 고충 민원 해결·예방 노력, 국민과 민원 담당 공무원 모두가 폭언·폭행 등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민원환경 조성과 관련한 평가 기준을 강화했다.
중앙행정기관에서는 행안부, 기상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5곳이 선정됐다. 이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행안부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서비스를 추진해 신분증을 편리하게 소지하면서 도난 위험을 줄여 디지털 신원 확인 확산에 기여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광역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시와 광주시 등 2곳, 기초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 하남시, 서울 동대문구 등 23곳이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중개업 종사자 모바일 자격증명 서비스 제공으로, 하남시는 원스톱 민원 처리를 위한 책임 상담제 및 민원처리 추진단 운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동대문구는 외국인 맞춤형 체납 고지서 및 안내문 제작·송달에 대한 평가가 좋았다.
교육청 우수기관은 광주시교육청과 인천시교육청 등 2곳이다. 이중 인천시교육청은 등교 여건이 열악한 지역 학생들을 위해 교육청 주관으로 여러 학교 학생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학생성공버스'를 운영해 학생들의 원거리 통학 여건을 개선했다.
행안부와 권익위는 우수 기관과 공적이 높은 관련 민원 담당자에게 정부 포상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낮은 평가를 받은 기관에는 민원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자문을 제공하는 등 후속 관리와 지원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이번 평가는 고충 민원 해결·예방 노력, 취약계층 민원의 신속한 해소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대민서비스 수준을 제고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공정한 평가를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따뜻한 민원서비스를 견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