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은 일본 후생노동성으로부터 지방 줄기세포를 이용한 2종 재생의료 제공 계획을 승인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해 국내 GMP센터의 특정세포가공물 제조 인정을 받아 일본 재생의료기관에 줄기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2종 재생의료 제공계획 최종 승인까지 더해져 일본 재생의료 사업개시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회사
밸류파인더는 18일 강스템바이오텍에 대해 일본 재생의료 시장 진출이 임박했으며, 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 시 모멘텀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연구원은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해 11월,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특정인정재생의료등위원회로부터 2종 재생의료(지방줄기세포), 이달 2월에는 1종 재생의료(제대혈 줄기세포) 제공 계획 승인을 받았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가 업계 최초로 '콥데이(Corporate Day)'를 주최한다고 12일 밝혔다.
밸류파인더는 시가총액 5000억 원 이하 스몰캡(중소형주) 기업들을 직접 탐방해 기업분석보고서를 제공하고 있는 독립리서치 업체다. 콥데이는 통상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세미나의 일환으로 기업과 기관투자자를 초대해 진행하는 기업홍보(IR)를 의미한다.
강스템바이오텍, 日 최초 아토피 치료 위한 제대혈 줄기세포 재생의료 심의위원회 승인
강스템바이오텍은 일본 후생노동성 인증을 받은 특정인정재생의료등위원회로(위원회)부터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1종 재생의료 제공계획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일본은 현지 의료기관에서 국내외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생의료를 진행 중이다. 다만, 자가가 아닌 동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2월 21일부터 시행대상자 일반환자로 확대하고 GMP 기준 완화기업은 수익, 환자는 치료 접근성 높일 수 있어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개정안 시행이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재생의료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임상 연구를 참여하는 환자에만 한정됐던 치료 대상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로 확대하면서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
삼성바이오·셀트리온, 메인 트랙 발표제임스 박 롯데바이오 신임 대표 공식 데뷔유한양행·알테오젠·등 다수 기업도 참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한다. 그동안 연구 성과와 신약을 선보여 글로벌 기업과 인수합병(M&A), 기술이전 등 성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특히 이번 행사 직후 ‘트
△한국항공우주, 보잉 대상 1조1000억 규모 B737 미익 공급 계약 연장 체결
△동아지질, 싱가포르 현지 업체 대상 227억 규모 공사 수주
△한신공영, 634억 규모 중랑물재생센터 시설현대화(2-1)단계 사업 공사 수주
△두산에너빌리티, 12일 개최 예정 임시주주총회 소집 철회 결의 공시
△한농화성, 265억 규모 군산공장 생산설비 증설
△조아제약,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CT-P44' 미국 임상 3상 시험계획 신청
△LS일렉트릭, 5610억 규모 동해안-동서울 HVDC 변환용 변압기 계약 수주
△GS건설, 5948억 규모 이촌한가람 리모델링사업 공사 수주
△까뮤이앤씨, 760억 규모 SK하이닉스 용인 클러스터 1기 OBL Project PC공사 수주
△GKL, 신임 사장에 윤두현 전 의
강스템바이오텍,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 임상 1상 결과 발표
강스템바이오텍은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OSCA)’의 임상 1상 결과보고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회사는 임상데이터 분석결과, 오스카의 인체 관절강 내 투여에 따른 안전성 및 내약성이 입증됐으며, 탐색적 유효성 평가를 통해 3개월 전후 시점부터 효과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프로젠, 유한양행과 면역 치료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프로젠과 유한양행은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올해 7월 포괄적 연구개발 협력 계약에 따라 체결되는 두 번째 과제다. 양사는 공동연구 협력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 최적화해 경쟁력 있는 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프로젠의 플랫폼 기
19일 오전 10시 1분 현재 강스템바이오텍은 전 거래일 대비 7.64% 내린 1958원에 거래되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전일 장 종료 후, 2019년 현대바이오랜드와 체결한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국내 독점판권/통상실시권 설정 및 기술전수와 관련해 현대바이오랜드로부터 계약해제 통보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내년 2월 시행될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개정안이 현장에 순조롭게 적용하기 위해 병원, 기업, 연구자 등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CARM)는 13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5회 첨단재생의료 발전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D-100,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시행과 차세대 기술 혁신 전략
알피바이오, 신개념 건기식 젤리 '이지츄' 상표출원
알피바이오는 젤리 품목의 신규 제형이자 독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표 ‘이지츄(easychew)’를 공식 출원했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신규 제형 ‘이지츄’는 올해 6월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9월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업체인 에프엠더블유의 ‘키즈 알티지 오메가츄 600’ 제품에 처음 도입됐다.
강스템바이오텍은 7일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를 목표로 개발 중인 줄기세포 기반 융복합제제 오스카(OSCA)에 대해 국내 근골격계 전문 제약사 유영제약과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강스템바이오텍은 반환의무가 없는 경상기술료로 계약금 20억 원과 단기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60억 원을 포함해 최소 140억 원을 받
강스템바이오텍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생법)에 따른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센터의 첨단재생의료 세포처리시설(세포처리시설) 허가를 취득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허가는 2025년 2월부터 시행 예정인 첨생법 개정안에 따른 국내 첨단재생의료사업 돌입을 위한 과정
강스템바이오텍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개발사업에 선정돼 총괄을 맡는다는 소식에 오름세다.
5일 오후 1시 36분 현재 강스테바이오텍은 전 거래일보다 5.27% 오른 1517원에 거래되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이번 산자부 사업의 연구개발 주관, 총괄기관으로 선정돼 21억 여원을 지원받고 이번 과제에 참여하는 기관들을 이끌 예정
강스템바이오텍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된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글로벌 산업화를 위해 소재 및 장비 개발을 기술·경제적으로 지원하고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이번 국책 과제는 오가노이드 등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배지, 동결보존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중증 아토피 치료 신약개발에 힘을 주고 있다. 글로벌 기업이 선점한 중증 아토피 치료제 시장은 환자 수 증가로 신약에 대한 기대가 크고, 성장 잠재력도 높다.
1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국내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2019년 94만9990명에서 2023년 97만6130명으로 늘었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6세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