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은 14일 기준 미국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KODEX 미국나스닥100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2조614억 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6월 1조2억 원 대비 1조 원가량 늘어나며 106% 성장했다. 이는 순자산 1조 원 이상 나스닥100 ETF 상품 중 가장 빠른 성장세라고 삼성자산운용 측은 설명했다.
KODEX
KB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RISE 미국나스닥100’ 순자산이 1조 원을 넘겼다고 17일 밝혔다.
RISE 미국나스닥100 ETF는 나스닥 시장 우량 기업에 현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을 중심으로 시가총액 상위 100여 개 첨단 기술주에 투자한다. 나스닥 지수는 지
상장지수펀드(ETF) 점유율 상위 1ㆍ2위 자산운용사의 수수료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들이 ETF 총보수를 업계 최저 수준으로 앞다퉈 내리고 있어서다.
반면 중소형 자산운용사들은 시장을 선도해야 할 대형 자산운용사가 출혈경쟁으로 ETF 생태계 파괴를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7일 삼성자산운용에 따르면 이날 ‘KODEX 미국S&P500 상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총보수를 기존 연 0.07%의 10분의 1수준인 연 0.0068%로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
앞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4일부터 회사 홈페이지에 ‘세상을 놀라게 하다 D-2’라는 문구를 올리며 수수료 인하를 시사했다.
두 E
1월부터 외납세 공제 방식 개편일부 미국 대표지수 ETF 분배금 급감에 논란이중과세·세재혜택 축소 등 투자자 불만 속출"투자자에게 개편안 미리 알리지 알렸어야"
외국납부세액(외납세) 공제 방식이 개편되면서 투자자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연금계좌에서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함한 해외 펀드에 투자할 때 배당소득에 과세하게 되면서 이중과세 등의 문제가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사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S&P500’와 ‘TIGER 미국나스닥100’ 2종의 순자산 총합이 12조 원을 넘겼다고 23일 밝혔다.
이로써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12조 원 규모 미국 대표지수 ETF를 운용하는 글로벌 운용사라는 기록을 남기게 됐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2일 종가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미국 대표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와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ACE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합산 순자산액이 3조 원을 돌파해 기념 감사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ACE 미국S&P500 ETF’와 ‘ACE 미국나스닥100 ETF’의 합산 순자산액은 10일 기준 처음으로 3조 원을 돌파했다
대신증권은 해외주식 담보대출 제공 범위를 기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종목에 더해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10종목을 추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추가된 종목은 △인베스코 QQQ ETF(QQQ) △SPDR S&P500 ETF(SPY) △뱅가드 S&P 500 인덱스 ETF(VOO) △아이셰어즈 코어 S&P 500 ETF(IVV) △슈왑 미국 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상장지수펀드(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이 각각 6조2115억 원, 4조2980억 원으로 총 10조 원을 넘겼다고 12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현재 아시아에서 S&P500, 나스닥100 지수 추종 ETF 총 순자산 규모가 10조 원을 돌파한 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유일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토스뱅크와 함께 12월 31일까지 ACE 상장지수펀드(ETF) 2종 모으기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토스뱅크 내 '연금 모으기' 메뉴에서 참여 가능하며, 토스뱅크와 연동된 한국투자증권 연금계좌를 개설한 뒤 'ACE 미국S&P500 ETF' 혹은 'ACE 미국나스닥100 ETF'를 선택해 투자하면 스타벅스 아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최초 미국 대표 지수 ETF(상장지수펀드)인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이 4조 원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어,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 4조 원 돌파 기념으로 12일부터 29일까지 해당 ETF 매수를 인증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TDF2050액티브' 순자산이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8일 밝혔다. 상장 이후 약 2년 3개월만의 성과로, 연말 기준 264억 원에서 754억 원으로 늘어나 올해 상장 상품을 제외한 빈티지 TDF2050 상품 30개 중 5위가 됐다.
KODEX TDF2050액티브의 성장은 높은 수익률과 상장지수펀드(ETF)의 장점이 결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4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의 순자산은 4067억 원이다. 6월 25일 신규 상장 이후 2개월여 만에 순자산 4000억 원을 넘어섰다.
이 ETF는 미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미국나스닥100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액이 1조 원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ACE 미국나스닥100 ETF는 2020년 10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선보인 미국 대표지수 추종 상품이다. 나스닥100 지수를 기초지수로 삼고 있다. 환노출형 상품이라 국내 투자자들이 환전 절차 없이 손쉽게 나스닥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KB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와 ‘KBSTAR 미국S&P500 ETF’의 합계 순자산이 1조 원을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는 미국 대표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100에 현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을 필두로 한 시
KB자산운용은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 이름을 기존 ‘KBSTAR’에서 ‘RISE’로 바꾼다고 28일 밝혔다.
KB자산운용에 따르면 ‘RISE’는 ‘다가오는 내일, 떠오르는 투자(Rise Tomorrow)’를 뜻한다. 개인투자자들의 더 건강한 연금 투자를 돕겠다는 의지를 담은 이름이라고 KB자산운용 측은 설명했다.
현재 KB자산운용이 상장한 ET
KB자산운용은 ‘KBSTAR 미국나스닥100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5000억 원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KB자산운용은 미국 대표 지수인 나스닥에 국내 최저보수(연 0.021%)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투자 수요를 높인 것으로 해석했다.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는 글로벌 혁신 기업의 상징인 나스닥 시장의 핵심 우량 기업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TIGER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이 각 3조 원을 돌파해 고객 감사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의 순자산은 3조1261억 원이다. 해당 ETF는 2020년 8월 상장 후 국내 최대 미국 투자 ETF로 성장했다.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