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 이동으로 지난해 1월이었던 상여금 지급이 올해는 2월로 미뤄져서다.
고용노동부는 28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조사(1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28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0만5000원(8.6
실질임금이 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명절 상여금 지급에 따른 일시적 증가로, 추세적으론 감소세가 여전하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9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9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31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3만1000원(5.7%)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
실질임금 증가율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8월 이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 확대로 실질임금 감소세는 연말까지 지속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8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8월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74만2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대 임
7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이 지난해 7월보다 1.1% 느는 데 그쳤다. 임금 상승이 정체된 데 더해 근로자가 저임금 산업을 중심으로 늘어난 탓이다.
고용노동부는 27일 발표한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7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7월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이 396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만3000원(1.1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둔화에도 실질임금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5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5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70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1%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달 물가 상승률은 3.3%였다. 임금 증가율이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면서 실질임금은 3월 이후 3개월 연속
2월 실질임금이 11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성과급 지급시기 변경에 따른 기저효과다. 임시·일용직과 300인 미만 사업체에선 실질임금 감소가 이어졌다.
고용노동부는 27일 발표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2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90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5.6% 증가했다
연간 실질임금 감소가 현실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2022년 12월 사업체노동력조사(11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11월 전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58만5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5%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5.0%)에 못 미치면서 실질임금 증가율은 4월 이후 8개월
실질임금이 7개월 연속 감소했다. 연간 누계로도 ‘마이너스’ 전환을 앞두고 있다. 반면, 기업들은 직원을 못 구해 인력난에 신음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11월 사업체노동력조사(10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10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63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5.1%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실질임금이 6개월 연속 감소했다. 누계 실질임금도 ‘마이너스’ 전환을 눈앞에 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9월 근로실태조사)’ 결과, 9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08만5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1%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5.6%)에 2.5%포인트
6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전년 동월보다 4.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6.0%)을 밑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실질임금은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6월 근로실태)’ 결과에서 6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66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7만
5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전년 동월보다 1.2%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상용직은 근로시간 감소로 초과수당이 줄면서 임금이 제자리걸음을 걸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서 5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28만7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만 원(1.2%)
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 간의 지난해 12월 임금 격차가 259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9년 1월 사업체 노동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0만8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5%(20만원) 증가했다.
상용직 1인당
지난달 전국 사업체의 근로자 수가 2009년 6월 고용부문 조사 이후 처음으로 1800만 명을 넘어섰다.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 공공일자리가 많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주로 증가했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1월 사업체 노동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11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 수는 1800만8
상용직과 임시직 노동자 간의 올해 4월 임금 격차가 19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5월 사업체 노동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4월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전년동월 대비 3.9% 늘어난 317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은 337만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사업체 종사자 수는 1669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39만1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신규채용이 급감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올 들어 8월까지 신규채용은 작년 대비 4000명이나 줄었다.
업종별로 보면 경기침체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빅3 조선소’가 있는 울산과 거제의 근로자 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지역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4월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총 1660만명이다. 서울시(411만 8000명), 경기도(379만 3000명), 경상남도(108만 5000명) 순으로 종사자 수가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양극화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월 기준 임시ㆍ일용직의 월평균 임금은 상용직의 40% 수준에 그쳤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내놓은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13만 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304만5000원)보다 3.6%(8만80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양극화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ㆍ일용직의 올해 4월기준 월평균 임금은 상용직의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내놓은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23만 4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 올랐다.
이 중 상용직
지난 3월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1인당 평균 월급여액은 328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임시ㆍ일용직 근로자의 임금은 141만원으로 상용직의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328만 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올해 2월 근로자들이 받은 월평균 임금은 376만원으로 작년 같은달보다 21만3000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이 가장 많은 업종은 금융ㆍ보험업으로 한달에 평균 645만원을 받았다. 가장 적은 업종은 숙박ㆍ음식점업으로 190만원이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