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신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전반적인 약세 흐름 속에서도 지난해보다 높아졌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효과와 상급지 갈아타기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신축 오름세가 나타나더라도 지방 주택시장의 분위기 전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1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부모덕에 수십억 원 아파트 사고 가장매매로 비과세 탈루 등다운계약 거래로 양도소득 줄이고 특수관계자 저가 직거래 형태로 탈세
#자녀 A 씨는 시세가 본인 소득의 수십 배에 달해 자력으로 취득이 어려운 서울 소재 고가 아파트를 수십억 원에 취득했다. 한편, A 씨의 부친은 A 씨가 아파트를 취득하기 얼마 전 고액의 배당금을 받고, 보유 중이던 상가도 매각한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전년 동기의 절반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이면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주택 시장에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이 불면서 지역과 입지에 따른 신축 쏠림 현상이 가속화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9일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월~6월)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임대 제외
서울 내 신축(준공 연령 5년 이하) 아파트 몸값 상승세가 빠르게 식고 있다. 지난해 새 아파트 수요에 불이 붙으면서 가파른 아파트값 상승세를 보였고, 급기야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이란 신조어까지 등장했지만, 아파트값 침체가 본격화하자 내림세가 가팔라진 것이다.
1일 한국부동산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넷째 주(12월 23일 기준) 서
내년 분양시장엔 역대급 한파가 불어닥칠 전망이다.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158개 사업장에서 총 14만6130가구가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조사 이래 분양물량이 가장 저조했던 2010년(17만2670가구)을 크게 밑도는 역대 최저 기록이다.
아직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GS건설,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잔여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 주택시장에서는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기조가 강해지고 있다. 2025년 공급 감소와 분양가 상승 우려가 맞물리면서 수요자들이 신축 청약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청약 접수를 받은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크로 리츠카운티' 1순위 청약
2025년 새해 첫 달 분양 물량이 1년 전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본격적인 ‘공급 절벽’ 현상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1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총 375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같은 기간 8608가구에서 무려 56.43%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465가구, 지
2022년부터 줄어든 주택 착공 여파로 향후 공급 대란이 예고된 가운데,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기조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 1~9월(누계 기준) 전국 주택 착공 실적은 19만4000가구로 전년 동기(14만1000가구)에 비해 5만 가구 증가했다.
주택 착공 실적은 △2021년 58만4000가구 △2022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얼죽신' 현상에 이어 최근에는 '얼죽브(얼어 죽어도 브랜드 아파트)'가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다. 소비자들이 주거 만족도와 자산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브랜드 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커지면서 대형 건설사 분양단지에 대한 쏠
이달 전국 2만8000여 가구가 분양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에 힘입은 건설업계가 올해 막바지 스퍼트에 나서는 모습이다.
2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12월 분양예정 물량은 40개 단지, 총 2만8070가구(일반분양 1만7358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2만9011가구) 대비 3% 적다.
연내
올해 청약시장에 참여한 수요자들이 지난해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하반기 청약시장 1순위 경쟁률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부동산 정보 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15일 기준) 청약시장에 공급된 가구 수(특별공급 제외)는 10만5983가구로 집계됐다. 여기에 접수된 1순위 청약 통
최근 부동산 시장의 핫 키워드가 된 '얼죽신'의 이유에 대해 '부동산계의 핫스타' 인베이드 투자자문 이상우 대표와 함께 머리를 맞대봤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 머리를 맞대다 '집땅지성'에서 확인해 보세요.
■ 진행 : 월천대사 이주현■ 출연 : 인베이드 투자자문 이상우 사장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선호)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공사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분양가가 꾸준히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신축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11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직방시세’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전국 입주 5년 이내 아파트 3.3㎡당 매매가
전국 부동산 시장에서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선호) 흐름이 퍼지고 있다. 신규분양 단지들 중에서도 브랜드 아파트로 불리는 10대 건설사 단지가 청약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공급된 신규분양 단지 청약경쟁률 상위 10개 중 8개 단지가 10대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였다.
청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4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공급절벽이 예고됐고, ‘얼어 죽어도 신축’이라는 뜻의 신조어인 ‘얼죽신’ 선호 경향이 확산하면서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0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121을 기록하며 기준치(100)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2021년 6
1순위 청약자 수가 4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매매량은 비교적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10월(4일 기준)까지 전국 1순위 청약자는 총 114만2810명이다. 12개월간 약 108만 명이 접수한 지난해의 기록을 10개월 만에 깬 셈이다.
1순위 청약자는 2020~2023년 연달아 감소한
9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포함) 거래량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 7월과 8월 서울 아파트값 급등에 공사비 상승에 따른 신축 선호 현상까지 겹치면서 분양권 거래가 급증한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전문가는 지난달을 기점으로 아파트값 상승 분위기가 빠르게 식고, 대출 규제 영향이 지속하자 분양권 수요가 꺾인 것으로 분석했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
최근 주택시장에서 신축 아파트가 '나홀로 상승'을 보이고 있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키워드가 트렌드로 떠오르며 신규 분양 단지를 찾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부동산 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전국 아파트 3.3㎡(평)당 평균 매매가는 입주 5년 이하 아파트가 3015만 원으로 전년 동기(2700만 원)보다 11.67
올해 3분기 서울에서 30년 초과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보다 가격 오름폭이 작은 가운데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분기 30년 초과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전체의 21.2%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18.8%, 2분기 17.8%에서 확대된 것이다.
오래된 아파트
부산 아파트 2채 중 1채는 20년이 지난 구축 아파트로 조사됐다. 최근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이란 신조어가 등장하는 등 신축 선호가 커진 가운데, 부산 지역에서 신규 공급을 앞둔 단지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부동산 R114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부산 아파트 총 90만2369가구 중 20년이 지난 아파트는 49만6831가구로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