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 당 9620원으로 최종 확정됐습니다. 올해(9160원)보다 5%(460원) 올라 월 최저임금은 201만580원(주 40시간 기준)인데요.
고용노동부가 이를 최종 확정·고시했음에도 최저임금을 둘러싼 경영계와 노동계의 갈등은 여전합니다. 물가 상승률과 비교해 임금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 뿐 아니라,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해
일본에서 ‘최저임금 3% 인상’을 둘러싼 공방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일본 정부는 ‘최저임금 1000엔’의 조기 실현을 목표로 기업들을 회유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향후 경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이다.
4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이날부터 최저임금 재검토에 들어갔다. 현재 전국 평균 874엔(시급)인 최저임금을
일본 정부와 여당이 올해 최저 임금을 사상 최대폭인 24엔(약 262원) 인상 등을 골자로 한 경기부양책 세부안을 마련했다.
후생노동성 중앙최저임금심의회 소위원회는 올해 최저 임금 기준을 전국 평균 24엔 올려 822엔으로 인상하기로 했다고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최저 임금은 기업이 직원에게 지불해야 하는 최소한의 시급을 말한다. 작년에는
일본 정부가 현재 전국 평균 798엔인 최저 임금을 매년 약 3%씩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24일 아베 신조 총리가 의장인 경제재정자문회의는 이같은 내용을 담아 26일 ‘일억 총 활약 국민 회의’에서 결정하는 긴급 대책에 포함시킨다는 방침이다. 국내총생산(GDP)의 60%를 차지하는 개인소비의 재
같은 아르바이트를 해도 한국과 일본의 아르바이트비는 2배가 넘게, 도쿄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은 일본의 아르바이트비가 목적이나 근무 조건 등 우리나라와 차이를 보여 단순 비교가 쉽지 않지만 ‘최저임금’과 ‘아르바이트 시급’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먼저 일본 아르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