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위 대출 규제로 억눌린 매매 수요가 임대차 시장에 머무르고 있다.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 사기 여파와 2023년 중순부터 꾸준히 오르막길을 걸어온 전셋값에 수요자 다수가 월세 시장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에서의 전세 비중은 56.0%(3만112건)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 상한제)이 갈림길에 섰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폐지를 포함한 다양한 개선 방안이 논의됐지만 뚜렷한 결과물은 없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토교통부가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임대차 2법 개편이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임대차 제도개선 방안 연구’ 연구용역 결과에는
임대차 2법 개편을 위한 정부 연구용역 결과가 공개된 가운데 전문가들은 제도 ‘폐지’부터 ‘핀셋 개편’까지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공통으로 임대차 2법의 부작용이 분명한 만큼 개선에는 모두 공감대를 표했다. 하지만 제도 개선의 폭에는 이견을 드러냈다.
10일 본지 설문조사를 종합하면 부동산 전문가들은 임대차 2법 개편에 관해 제도 시행 5년이 지나 어떤
정부가 전세대출 조이기에 나선다. 1분기부터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못 갚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갚아주는 비율을 100%에서 90%로 축소하고 하반기에는 소득 등 상환능력에 따라 보증 한도를 차등한다. 소득이 낮거나 기존 대출이 많으면 전세대출이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차주의 소득, 기존대출 등 상환능력
아파트 매맷값은 떨어지고 전셋값은 오르면서 전세가율(매매 대비 전셋값 비율)도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대출 규제로 시작된 매매시장 위축이 전세 시장에도 긴장감을 주는 모습이다.
8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를 기록했다. 이는 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전면적으로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최고치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 관련 산업 수혜 효과를 누리던 경기 이천시 아파트값 낙폭이 심상찮다. 업황 불황에 수도권 집값 내림세가 겹치면서 낙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7일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3일 기준 이천 아파트값 변동률은 –0.50%를 기록했다. 이는 안성시(-0.55%)에 이어 경기 지역 내 하락률 2위 수준의 낙폭이다. 하락률 3위인 용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주까지 4주 연속 보합(0.0%)을 기록했지만, 선호단지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상승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내림세를 지속했지만, 낙폭은 전주 대비 줄었다. 전국 전셋값은 내림세를 멈췄고, 서울 전셋값은 상승 전환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2월 첫째 주(3일 기준) 서울
미분양 공포가 확대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미분양이 증가했고 앞으로도 물량이 계속 쌓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분양 적체는 매수심리를 위축시키고 주택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1480가구로 전월보다 15.2% 증가했다. 2013년 12월(2만1751가구) 이후 11
다음 달 새 학기 시작을 앞두고 서울 주요 학군지 아파트 실수요가 살아나는 모양새다. 지난해 말 이후 최근까지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 한파에 탄핵 정국이 겹치면서 신축과 일부 핵심지 말곤 아파트 거래가 주춤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파트 거래절벽 속에서도 대치동과 목동 등 학군지 단지는 꾸준히 실수요가 몰리면서 매맷값은 물론 전세까지 강세를 보인다.
4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거래 한파 속에서도 송파구 소재 대단지와 주요 신축 단지는 손바뀜이 끊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바로미터’로 분류되는 송파구 수요는 거래량이 급감한 악조건 속에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지역 내 시세를 선도할 대규모 신축 단지를 실수요자들이 선호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3일 부동산
올해 1월 수도권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하락한 곳은 서울에선 광진구, 경기지역에선 의정부로 나타났다.
31일 KB부동산 통계 분석 결과 1월 기준으로 서울에선 주택 매맷값 기준으로 광진구가 –0.14%로 하락률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서 관악구(-0.08%), 도봉구(-0.06%) 순으로 낙폭 상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노원구는 –0.06
설 연휴 이후 부동산 시장이 반등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2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확실시되고 봄 이사철을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다만 지방 부동산 시장의 부침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전세 시장은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약보합 흐름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부동산 전문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전년 동기의 절반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이면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주택 시장에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이 불면서 지역과 입지에 따른 신축 쏠림 현상이 가속화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9일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월~6월)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임대 제외
설 연휴를 앞둔 1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약보합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노원구와 구로구, 양천구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악구는 다른 지역 하락률의 2배 이상을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24일 KB부동산 통계 분석 결과 20일 기준 ‘1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선 서울 노원구와 구로구, 양천구가 모두 0.08%씩
서울 내 대규모 아파트 단지 수요가 뚝 끊겼다. 강북과 강남 핵심지역에서 대단지 입주장이 시작됐지만, 분양권·입주권(분양권) 시장은 잠잠하다. 분양권 가격은 서울 아파트값 약세와 맞물려 최근 들어선 지난해 3분기 때보다 낮은 금액에 손바뀜 중이다. 전세도 매매수요 둔화와 입주 환경 악화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적체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24일 건설업계에 따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보합(0.0%)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하락 폭이 커지면서 10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전세는 2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고, 전국 기준으로는 하락이 지속됐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1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이어 보합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조이기로 수요자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국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중견 건설사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개시와 주요 건설사 공사 미수금 증가 등 시장 불안요인이 늘어나며 이 같은 흐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 -0.07%로 전월(
서울 아파트 거래 한파 속에서도 ‘6억 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진 부동산 시장 침체와 대출 규제, 탄핵 정국에 따른 매수 심리 급랭 등으로 아파트 매수세가 끊기다시피 했지만, 저가 아파트 수요는 여전한 셈이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분석 결과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 중
집과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유쾌하고 깊이 있게 다뤄보자는 취지로 마련한 코너입니다. '왁자집껄'에서는 스타의 집, 부동산 트렌드, 시장 동향, 재미있는 일화 등 실용적이고 유익한 팁까지 집과 관련된 소식을 나누고자 합니다. 왁자지껄하게!
지드래곤(G-DRAGON), 본명 권지용. 이 이름을 들으면 어떤 수식어들이 떠오르나요. 빅뱅, 천재 음악가, 패션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정국 불안정으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지난해 상반기 내내 이어지던 상승세를 멈췄다. 시장 전망도 부정적으로 전환되면서 당분간 내림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1일 KB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9% 내렸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가 강화된 지난해 9월 이후 상승 폭이 빠르게 둔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