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은 4월 6일까지 더현대 서울 지하 1층에서 랄프 로렌의 카페 브랜드 ‘랄프스 커피’ 팝업스토어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엄선한 원두 ‘랄프스 로스트’와 ‘우지 말차 라떼’, ‘초콜릿 바이 발로나’, ‘랄프스 브라우니’ 등 다양한 음료와 미국식 디저트를 만나볼 수 있다.
팝업에선 랄프스 커피 로고가 새겨진 기차
롯데백화점은 16일까지 본점과 강남점, 동탄점의 '더콘란샵'에서 기념일 선물 큐레이션을 선보이는 '마이 스윗' 밸런타인 데이 행사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올해는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진행 점포를 3곳으로 확대하고, 판매 품목 또한 2배로 늘렸다.
특히 지난해 품귀 현상을 보였던 '트리투바'의 살라미 초콜릿을 특별 에디션으로 한정 판매한다. 바르셀로나
롯데웰푸드∙파리바게뜨∙빙그레 등 제품 잇따라 가격 인상업계 “원재료값 급등∙고환율로 원가 압박 커져 불가피한 선택”
식품업계가 새해 초부터 잇따라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각 업체는 원재료 가격 급등과 물류비 등 제반 비용이 상승하면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게다가 12.3 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롯데웰푸드는 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5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 감소했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4조443억 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지만, 당기순이익은 820억원으로 21.0% 늘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카카오 등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통상임금 판결 등으로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작년 6월 ‘가나 초콜릿’ 등 17종 인상 후 8개월 만에 초콜릿 ‘가나 마일드·크런키’ 각각 600·300원 등 인상‘월드콘·설레임’은 각 200원 올려...카카오값 급등 부담
롯데웰푸드가 ‘빼빼로’와 ‘월드콘’ 등 자사 대표 건과류 및 빙과류 제품 가격을 또 올린다. 지난해 6월 ‘가나 초콜릿’ 등 17종의 제품 가격을 평균 12% 올린 후 8개월
건강과 함께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의미의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가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면서 식음료업계도 당류를 줄이거나 없앤 제로슈거·저당 제품을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동서식품은 스테디셀러인 커피믹스 제품을 제로슈거 버전으로 신제품을 선보였고 던킨도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저당 디저트을 내놨다. 동원F&B와 일화는 각각 저당 가공 우유와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 앞두고 다이닝 패키지 앞다퉈 선봬파르나스, 14ㆍ15일 한정 '스트로베리 고메 부티크' 개시하얏트 체인 안다즈도 "14일 단 하루만 디너 프로그램 운영"
밸런타인데이를 앞둔 호텔업계가 특별한 기념일을 맞이하고자 하는 연인들을 위해 앞다퉈 다양한 미식 프로모션을 마련하고 있다.
4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인천 모히건 인스파이어
하리보 세트에 굿즈 추가하는 등 초콜릿 넘어 생활용품까지 확대
새해 들어서도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계속되는 가운데 편의점업계가 1분기 최대 대목인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차별화 제품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MZ세대에 인기가 높은 캐릭터와 협업해 초콜릿 패키지에 차별화를 두는 것은 물론 관련 생활용품을 앞세워 불황 타개에 나섰다.
3일 유통업계에 따
세븐일레븐은 일본 현지에서 직소싱한 ‘스틱 휘낭시에’ 3종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휘낭시에는 프랑스어로 금융(financier)에서 유래한 단어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손에 잘 묻지 않아 프랑스 증권가 직원들의 후식 빵으로 인기를 끌다 전 세계적인 디저트 빵으로 자리 잡았다.
세븐일레븐이 일본 직소싱을 통해 선보인 스틱 휘낭시에는 초콜릿, 치즈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달콤한 초콜릿, 따뜻한 커피, 바삭한 쿠키…
올해의 색 '모카 무스'(Mocha Mousse)는 이렇게
편의점 이마트24에 이마트의 PB(자체브랜드) 상품 ‘노브랜드’를 도입한 점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마트24는 노브랜드 판매 점포가 1000개 점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노브랜드를 판매하는 점포의 경우 평균 크기가 135㎡(41평)로 기존 대비 약 60㎡(18평)가량 크고, 하루 평균 매출도 60% 가까이 높았다. 노브랜드는 이마트의 자체브랜
파리바게뜨가 ‘행복과 건강을 담은 2025 소원성취’를 테마로 다양한 베이커리와 디저트로 구성된 설 선물세트를 출시했다.
대표 제품은 정월 대보름의 ‘부럼 깨기’에서 모티브를 얻어 ‘힘이 아자잣! 복이 호두둑’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잣과 호두 등의 견과를 활용한 제품이다. 잣을 카스텔라에 듬뿍 넣어 고소함과 솔향이 입 안 가득 퍼지는 ‘힘이 아자잣!
스타벅스가 커피 가격을 인상하면서 아메리카노 기본(톨) 사이즈가 4700원이 된다.
20일 스타벅스코리아에 따르면 24일부터 커피와 티 카테고리 일부 음료 등 22종 가격이 인상된다.
인상 대상은 커피와 티 음료 숏·톨 사이즈 13종, 톨 사이즈 8종이다. 10종은 동결, 1종은 인하하는 등 일부 품목 가격을 조정한다. 커피 톨 사이즈 가격 인상은 2
해태제과가 자사 대표 제품 '후렌치파이' 출시 43년 만에 스핀오프(Spin-off·파생) 제품을 내놨다. 하이트진로는 MZ 소비자를 공략해 진로골드 윷놀이 세트를 출시했다. 롯데리아와 오뚜기는 각각 유명 셰프 나폴리맛피와 협업한 버거, 건강 간편식 신제품을 선보였다.
◇해태제과 '후렌치파이 쁘띠초코'
해태제과는 후렌치파이의 스핀오프 제품인 '쁘띠초
발포주 아닌 맥아ㆍ홉 발효한 진짜 맥주주세 감면 공략하고 인건비ㆍ물류단계 최소화3월 ‘체코 사츠홉’ 활용 새 시리즈 출시 계획
“1000원 맥주 ‘타이탄’ 얼마나 인기냐고요? 담당 바이어도 잘 못 구해요.”
15일 서울 강서구 등촌동 홈플러스 본사에서 만난 김예니 홈플러스 주류음료팀 바이어는 일명 '1000원 맥주' 타이탄의 판매 성과를 묻는 질문에 이
지난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두바이 초콜릿에 이어 올해는 '수건 케이크'가 대세 디저트로 주목받고 있다. 트렌드에 민감한 편의점들도 앞다퉈 수건 케이크 제품을 선보이며 유행을 쫓는 MZ 세대 공략이 한창이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CU, GS25 등은 수건 케이크 신제품을 출시해 판매를 시작했다.
GS25의
뽕짝 끼(?) 가득한 전주, 신화 속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안무, 긴장감을 자아내는 비장한 표정까지…
열정적인 K팝 팬이라면 위 설명만 듣고도 '정답'을 외칠 수 있을 겁니다. 최근 아이돌 그룹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샹하이 로맨스' 챌린지 속 모습인데요. 중독적인 노래에 쉽고 재미있는 안무까지, 흥하는 챌린지의 덕목(?)을 고루 갖추면서 인기를
작년 매출 500억 돌파…출시 첫해 대비 214% 신장제로 초코파이, 출시 50일 만에 600만 봉 판매
식품시장에서 제로 바람을 일으킨 롯데웰푸드의 무설탕·무당류 브랜드 ‘제로(ZERO)’가 발매 2년 6개월 만에 누적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14일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2022년 5월 탄생한 브랜드 제로는 건강에 걱정되거나 부담되는 요소를
농심·서울우유 등 과거 인기 제품들에 소비자 요청 '봇물'연구개발비 최소화ㆍ높은 인지도 속에 판매량 보장 강점
최근 식품업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다 단종된 제품에 대해 리뉴얼 등을 거쳐 다시 선보이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과거 제품에 대한 좋은 기억을 떠올리는 소비자들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기업들 역시 신제품 개발에 따른 부담감을 덜고 높은 인지도
새해를 맞아 푸른 뱀을 테마로 한 신상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설화수 '푸른 뱀의 해 리미티드 에디션', 프레시안 '럭키 블루 에디션' 등 한정판 화장품이 있다. 식품업계에선 제철을 맞은 딸기를 활용한 신메뉴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푸른 뱀의 해 리미티드 에디션'
9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