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내정자는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내 공정거래조정원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내정자는 “공정위는 광범위한 재량권이 있는데 현행법을 집행할 때 4대 그룹 사안은 좀 더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하겠다” 며 “30대 그룹 자산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4대 그룹에 맞춰 규제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내정자는 대선기간에 이러한 의견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건의했고 문 대통령이 전적으로 수용해 공약에 반영했다고 했다.
김 내정자는 “4대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법을 만들 수는 없다”며 “다만, 공정위는 현행법을 집행할 때 재량권이 있는데 4대 그룹 사안이라면 좀 더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해보겠다는 취지”라고 했다.
그렇다고 중하위그룹에 법적용 예외를 둔 뜻은 아니라고 전했다.
김 내정자는 “이 시그널을 재계에서 모호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은데 명확하게 이해 해주셨으면 좋겠다”며 “중하위그룹에 대해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고 법적용에는 예외가 없다. 공정하고 엄정하게 집행하겠다”고 역설했다.
김 내정자는 공정위에 대기업 조사기능과 경제분석 기능을 강화한 기업집단국을 부활하겠다는 의지도 공식화했다.
김 내정자는 “공정위가 경제분석 기능을 키워야 한다”며 “대기업 조사 기능에 분석기능까지 포함한 조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산분리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부부처의 협업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내정자는 “과거정부에서 모든 대통령들이 재벌개혁, 지배구조개선 공약을 했지만 안된 이유는 중 하나가 정부 차원의 콘트롤타워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금산분리도 금융위와 공정위, 법무부, 국무총리실 등 다양한 정부부처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금산분리 정책목표는 한 부서의 하나의 정책수단으로 달성될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앞으로 여러 정부부처와 협의해서 금산분리 취지가 경제에 충격을 주지않고 시장에 활력 줄 수 있도록 범정부차원에서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내정자는 재벌개혁을 통해 중소기업과 서비스업분야에서 좋은 일자리를 창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김 내정자는 “10대그룹에 최종 고용된 노동자가 100만명 이지만, 10대그룹의 성장만으로는 우리나라 국민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소득을 제공 할 수 없다”며 “대기업들의 행포나 불공정 하도급, 갑질 등으로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이 발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면 이런 요인들을 제거해 재벌기업도 발전하면서 중소기업과 서비스업분야도 지금보다 훨씬 더 좋은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순환출자 문제는 당장 우선적으로 할 대상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김 내정자는 “5년 전 선거를 치를 당시에는 14개 그룹 9만8000개의 순환출자 고리가 있었는데 롯데그룹의 비중이 컸었다”며 “지난해 기준으로는 8개 그룹 96개였고 최근에는 7개 그룹 90개로 많이 줄었다”며 우선 대상이 아님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