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개장] 코스닥 650.37p, 개인 순매수에 상승세 (▲1.31p, +0.20%)

입력 2017-05-31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 거래일에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닥시장이 개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상승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31일 오전 9시 3분 현재 코스닥지수는 1.31포인트(+0.20%) 상승한 650.37포인트를 나타내며, 65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 중이며, 외국인만 홀로 매도 중이다.

개인은 42억 원을, 기관은 1억 원을 각각 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45억 원을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숙박·음식(+0.91%) 업종의 상승 출발이 눈에 띄는 가운데, 광업(+0.84%) 통신방송서비스(+0.49%)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부동산(-0.43%) 전기·가스·수도(-0.26%)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그밖에 사업서비스(+0.32%) 운송(+0.24%) IT S/W & SVC(+0.24%)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 중이며, 기타서비스(-0.25%)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4개 종목이 오름세로 출발했다.

에스에프에이가 0.92% 오른 8만8000원을 기록 중이고, 코미팜(+0.83%), 카카오(+0.81%)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로엔(-0.36%), 원익IPS(-0.34%), SK머티리얼즈(-0.30%)는 하락 출발했다.

그 외 코맥스(+12.53%), 한국큐빅(+11.85%), 잉글우드랩(Reg.S)(+8.73%)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디에스케이(-9.08%), 행남생활건강(-4.77%), 넥스트리밍(-4.01%) 등은 하락 출발했다.

현재 상승 종목은 559개, 하락 종목은 345개이며 나머지 227개 종목은 보합세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23원(-0.14%)으로 하락 출발했으며, 일본 엔화는 1013원(-0.07%), 중국 위안화는 165원(-0.16%)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10,000
    • -0.69%
    • 이더리움
    • 4,179,000
    • +2.93%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0.62%
    • 리플
    • 4,033
    • -1.95%
    • 솔라나
    • 278,800
    • -3.13%
    • 에이다
    • 1,225
    • +5.69%
    • 이오스
    • 970
    • +1.68%
    • 트론
    • 371
    • +3.06%
    • 스텔라루멘
    • 515
    • -0.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1.26%
    • 체인링크
    • 29,390
    • +3.38%
    • 샌드박스
    • 612
    • +3.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