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5년 2979개사였던 중견기업 수가 2016년 3558개, 2017년 4014개, 2018년엔 4468개로 매년 400곳 이상씩 늘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중간에 위치한 중견기업은 직전 3개 사업연도의 연평균 매출액이 400억~1500억 원 이상, 자산은 5000억 원 이상인 기업을 말한다. 중견기업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영리법인·2017년 기준)의 0.6%에 불과하지만 국내 기업 총 매출액의 14.1%(671조 원), 총 고용의 12.5%(125만 명)를 담당한다.
중견기업 수가 대폭 늘어난 것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기준 변경의 영향이 컸다. 정부는 2016년 대기업집단 지정(매년) 기준을 기존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에서 10조 원 이상으로 올렸다. 이로 인해 5조~10조 원 미만인 기업집단 소속 기업 1035개(2016~2017년)가 대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대거 전환됐다.
이와 함께 ‘중견기업 기준을 충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3년 유예기간’(중소기업기본법)이 지난해 지남에 따라 중견기업 수가 늘었다. 유예기간이 종료된 400여 개의 중소기업이 지난해 중견기업에 편입된 것이다. 당초 종업원 수 등을 기준으로 분류해 3000개가 넘었던 중견기업은 2014년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을 명확히 한 중소기업기본법이 개정돼 수가 확 줄었다.
이 기간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경영실적을 끌어올려 중견기업이 된 사례는 단 하나도 없었다. 중견기업연합회 관계자는 “통계상으로는 중견기업 수가 대폭 늘어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소기업 스스로 중견기업이 된 경우는 제로(0)”라며 “중견기업이 되면 중소기업에 비해 정부의 지원 혜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중소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올라가는 걸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 되면 세액 공제 및 감면, 정책자금, 인력 공급, 판로 확보 등 다방면에서 100여 가지의 혜택이 사라진다. 그러다 보니 과거 중소기업 시절에 받았던 혜택을 누리기 위해 다시 중소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중견기업들도 적지 않다.
중견기업연합회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중견기업을 대기업 또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키우려면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혜택을 중견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중견기업이 되려는 중소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