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개월 만에 20만 명 미만으로 내려앉았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3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7만1000명 증가했다. 2월(26만3000명), 3월(25만 명)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2만7000명), 교육서비스업(5만5000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만9000명) 등에서 늘었지만, 도매 및 소매업(-7만6000명), 사업시설관리, 지원 및 임대서비스업(-5만5000명) 등에서 크게 줄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도·소매업까지 추세를 유지했다면 (전체 취업자가) 조금 더 증가했을 텐데, 업황 부진으로 감소 폭이 확대됐다”며 “건설업도 전월엔 보합세였는데 이달엔 감소해 취업자 증가를 둔화시켰다”고 설명했다.
15~64세 고용률은 66.5%로 전년 동월보다 0.1%포인트(P)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과 60세 이상에선 각각 0.9%P, 0.1%P 올랐으나 나머지 연령대에서 내렸다. 40대에선 78.2%로 0.8%P 급락했다.
관련 뉴스
실업자는 124만5000명으로 8만4000명 늘고, 실업률은 4.4%로 0.3%P 상승했다. 청년 실업률은 11.5%로 0.8%P 올랐다. 확장실업률 개념인 고용보조지표3도 12.4%로 0.9%P, 청년층에선 25.2%로 1.8%P 상승했다. 실업자 수와 실업률, 고용보조지표3도 지금과 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고치다.
통계청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실업률 상승이 지방직공무원 접수기간 차이에 기인했다고 봤다. 정 과장은 “실업자가 8만4000명 증가했는데, 그 중에서 5만 명 가까이를 청년층이 끌어올렸다”며 “작년과 올해 지방직공무원 접수인원 차이가 17만8000명 정도 되는데, 이것으로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