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만기 미 국채 3조달러...채권 금리 급등하나

입력 2025-01-02 07: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발행 국채 약 27조달러 중 상당수 단기채
“중‧장기채 전환 예상, 재정적자보다 문제될 수도”

▲미국 달러화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달러화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2025년 만기가 도래할 예정인 미국 국채 규모는 약 3조 달러(약 4415조4000억 원)에 달한다. 이중 단기채 비중이 커 새해 채권시장의 잠재적 불안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1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새 미 재무부는 단기채 발행 비중을 늘려왔다. 단기채 발행 비중은 통상 전체 채권 발행량의 20% 수준인데, 부채한도 협상과 신속한 재정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그 비중이 커졌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미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 26조700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8.5%나 증가했는데, 이중에서도 만기가 짧은 단기채 비중이 컸다.

문제는 미 행정부가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채를 중·장기채로 차환 발행하려고 할 때 채권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미국의 재정 적자가 2조 달러에 달하는 가운데 단기채의 장기채 전환은 시장에 부담이다.

시장분석업체 스트래티거스의 톰 치추리스 채권 부문 수석은 CNBC에 “2025년에도 수조원대 재정적자가 지속될 경우 결국 누적된 적자가 단기 국채 발행량을 압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정부는 재정적자 발생 시 여러 해에 걸친 세입으로 채무 상환 부담을 분산하는 차원에서 장기채를 발행해 세수 부족을 메우게 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난해 미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경제 부양 효과를 기대하며 단기채 발행에 속도를 냈다고 지적한다.

치추리스 수석은 “단기채들은 점진적으로 5~10년 만기의 채권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이는 올해 미국 시장에는 재정적자보다 더 큰 우려사항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 장기 국채 수익률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9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인하하면서 상승 흐름을 보였다. 재무부가 단기채를 중‧장기채로 차환 발행하는 상황에서 시장이 흡수하지 못할 경우 채권 금리는 더 오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징어 게임2', 말 많아도 다음 시즌 봐야 하는 이유 [이슈크래커]
  • 박찬호부터 김혜성까지…LA 다저스로 간 코리안리거의 성적표는? [이슈크래커]
  • A형 독감 대유행 '환자 폭증'…증상ㆍ전염성ㆍ백신 총정리 [이슈크래커]
  • 단독 기재부, 최상목 권한대행 '보좌TF' 인력보강...정무 기능 확대 전망
  • ‘시공평가 58위’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워크아웃 졸업 5년만
  • 킹달러에도 美증시 사랑 계속된다...거래대금·ETF순자산 모두↑
  • 정부 주도 합동 추모제 추진…무안공항 폐쇄 14일까지 연장
  • [양자컴퓨터 시대 투자법] 비트코인 ‘양자해킹’ 위협?…가상자산 날개 달 수도
  • 오늘의 상승종목

  • 01.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864,000
    • +3.73%
    • 이더리움
    • 5,446,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706,000
    • +2.39%
    • 리플
    • 3,574
    • +2.52%
    • 솔라나
    • 324,900
    • +3.21%
    • 에이다
    • 1,608
    • +0.37%
    • 이오스
    • 1,362
    • +3.03%
    • 트론
    • 393
    • +1.29%
    • 스텔라루멘
    • 673
    • +4.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000
    • +3.3%
    • 체인링크
    • 35,750
    • +4.17%
    • 샌드박스
    • 1,045
    • +1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