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대출 금리는?"…국가 AI 컴퓨팅 센터 설명회 IT투자자로 문전성시

입력 2025-02-07 17: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규모 인프라 공급에 대응해 수요 창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 정책 마련
정부, 1분기 내 규제 개선·R&D·인재 양성 지원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 전략 수립'

▲7일 오후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 이주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과장이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설명과 공모신청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나리 기자)
▲7일 오후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 이주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과장이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설명과 공모신청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나리 기자)

인공지능 3대 강국(AI G3) 도약을 가속할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는 인센티브와 서비스 요금, 인프라 활용 여부 등에 대한 관심이 쏟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등 국내·외 빅테크뿐만 아니라 플랫폼 기업과 클라우드서비스 기업, SI 기업, 투자사 등 300명이 이상이 참여하며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정부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구축하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민간의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고, 기술ㆍ시장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2025년 서비스 조기 개시, 2027년 센터 개소를 목표로 추진한다. 기업,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국내 AI컴퓨팅 생태계 육성 등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SPC는 공공지분 51%로 설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산하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에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등 행정적‧정책적 역량을 집중한다.

이주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과장은 “초기에는 첨단 GPU를 우선 구축하되 점진적으로 국산 반도체 비중을 확대해 2030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50%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민간 참여자는 AI 컴퓨팅 서비스 모델 구성 제공 방안과 서비스 로드맵, 공공성과 수익성을 고려한 부가 서비스 계획 등을 상세히 제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AI 컴퓨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 참여 및 국제적 협력 방안도 마련해야 하며 AI 반도체 및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 등 정부 R&D 협업을 통해 국내 AI 컴퓨팅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

참석자들의 관심이 쏠린 인센티브 정책에 대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대규모 인프라 공급에 대응해 이에 상응하는 수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 정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센터 운영과 관련된 서비스 요금과 인프라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서비스 요금이나 대상은 사업참여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할 때 자유롭게 구성하면 된다”며 “이 사업을 통해 기업이나 연구자들에게 고품질의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는 정책적 목표가 있는 만큼 어느 수준으로 산업계나 연구계에 제공하는지에 따라 사업 평가 시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가 AI컴퓨팅센터에는 K-클라우드에서 개발한 기술 개발 사업의 성과물이 적용될 예정이다.

산업은행은 AI컴퓨팅 인프라에 투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3년간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해는 반도체와 AI 분야에 25%인 4조2500억 원을, AI컴퓨터 인프라 분야에 6250억 원을 할당한다.

산업은행 강준형 팀장은 “정부에서 산은에 출자한 재정을 연계한 상품인 만큼 파급적으로 낮은 금리로 제공한다”며 “가장 주목할 부분은 국고채 금리 수준까지 대출을 지원하는 게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대출 기간은 최대 15년이며 심사 절차는 기존 은행의 심사절차와 같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가 AI컴퓨팅 센터로 대표되는 고성능 AI 컴퓨팅 인프라에 뛰어난 인재와 소프트 혁신이 더해질 우리가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인프라를 기업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서비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등이 상호 연계해 성장하는 선순환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기업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송 실장은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이 국가 AI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사업 수행 컨소시엄과 범부처 차원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행정적 정책적 역량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국가 AI 컴퓨터 센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정부와 민간이 원팀이 되어서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며 기업의 참여를 독려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1분기 이내에 규제 개선과 R&D(연구개발), 인재 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이~" 새벽잠 깨운 긴급재난문자, 데시벨도 달라진다고? [해시태그]
  • 칸예, '아내 누드쇼'→'디디 게이트' 샤라웃?…'칸쪽이'는 왜 그럴까 [솔드아웃]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완전체 컴백' 앞두고 날갯짓 편 블랙핑크…4인 4색 차량 열전 [셀럽의카]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088,000
    • -2.26%
    • 이더리움
    • 4,230,000
    • -3.78%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2.23%
    • 리플
    • 3,679
    • -3.84%
    • 솔라나
    • 304,400
    • -2.69%
    • 에이다
    • 1,128
    • -4.73%
    • 이오스
    • 917
    • -3.37%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509
    • -3.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50
    • -3.24%
    • 체인링크
    • 29,670
    • -3.76%
    • 샌드박스
    • 594
    • -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