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10곳 중 1곳 위법…산업부, 과태료 등 행정처분

입력 2025-02-1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년 전기안전관리업무 실태조사' 결과 발표

▲한국전기안전공사 청년자율방재단 관계자가 전북 완주군 침수 현장에서 전기설비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청년자율방재단 관계자가 전북 완주군 침수 현장에서 전기설비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기안전공사)

지난해 주요 전기설비 및 전기안전관리 위탁․대행사업자 10곳 중 1곳은 전기안전관리자 미선임, 법정검사 미실시, 대행업무 범위 초과 등 중대한 위법 사항을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벌금과 과태료,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을 통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전기안전관리업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11월 주요 전기설비와 전기안전관리 위탁․대행사업자 등 총 740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전기안전관리업무 부실 방지와 전기사고 예방이 목적이다. 조사 대상은 민원접수 등을 통해 상시 안전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추정되는 곳을 선정했다.

조사 결과, 358개소(48.4%)의 사업장에서 안전관리기록 작성 미비, 점검 항목 일부 누락 등 경미한 안전관리 미흡 사례가 확인됐다. 이에 정부는 사업장 및 전기안전관리자에게 즉시 현장 개선 또는 보완을 권고하고, 안전관리규정 작성 안내 등 업무 지도를 시행했다.

이와 함께 74개소(10%)에서는 '전기안전관리자 미선임, 법정검사 미실시, 대행업무 범위 초과' 등 국민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위법 사항이 확인됐다.

산업부는 위법정도 및 사안에 따라 벌금, 과태료,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을 조치하고, 결과를 전기안전종합정보시스템(www.kes.go.kr)에 공개해 사업장 및 전기안전관리 업무종사자 등의 경각심을 제고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안전관리업무 부실은 대형 전기재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부실방지를 위한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실태조사로 전기안전관리자, 위탁·대행사업자 등 전기안전분야 종사자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야 할 의무를 다시금 상기시키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한 전기사용 환경 조성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삼성웰스토리 단체급식에 푸드테크 접목하니...“편리하고 안전”[르포]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이거 대본 아니죠?"…이영자→주병진, 우리는 왜 '중년의 사랑'에 열광할까 [이슈크래커]
  • 장소는 학교, 피해자는 학생, 가해자는 교사…대전 초등학생 참혹 피살사건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 보니 [데이터클립]
  • 늙어도 천천히, 건겅하게...안티에이징 넘어 ‘저속노화’로 [저속노화 열풍]
  • 인권위, '尹 방어권 보장' 안건 의결...지지자 '환호', 野 "인권위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11: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061,000
    • +1.26%
    • 이더리움
    • 4,055,000
    • +3.02%
    • 비트코인 캐시
    • 503,000
    • +3.75%
    • 리플
    • 3,697
    • +3.76%
    • 솔라나
    • 306,300
    • +1.66%
    • 에이다
    • 1,118
    • +9.93%
    • 이오스
    • 967
    • +7.8%
    • 트론
    • 376
    • +7.74%
    • 스텔라루멘
    • 481
    • +3.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500
    • +3.86%
    • 체인링크
    • 28,880
    • +6.73%
    • 샌드박스
    • 601
    • +8.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