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세계 경기 회복을 위해 내수를 늘려 수출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부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메르켈 총리는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유럽의 금융 위기가 끝나려면 아직 멀었기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의 요구를 재고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G20(주요 20개국 지역) 정상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세계 주요국들이 공공 지출을 늘려줄 것"을 촉구하면서 글로벌 경제회복의 둔화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또 오바마 대통령은 서한을 통해 독일 중국 일본 등 G20의 수출대국에 소비를 강화시켜 글로벌 수요에 대한 균형을 맞춰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메르켈 총리는 “독일의 성장과 고용이 점차 호전되고 있다”며 “그 때문에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서 무역수지 흑자에 대한 의존을 재고할 이유는 없다”고 반론했다.
이어 “독일 수출의 성공은 우리나라 기업의 높은 경쟁력과 혁신 기술을 반영하고 있다”면서 “인위적으로 독일 경제를 축소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로울 게 없다”고 강조했다.
메르켈 총리는 “그리스에서 비롯된 재정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 같은 유럽 내 다른 국가로 퍼질 위험이 여전하다”고 우려했다.
독일의 이런 입장은 각국 정부에 지출 축소를 호소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입장과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양측 간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독일은 최근 향후 4년간 800억(960억달러) 규모의 재정지출안을 발표한 바 있고 프랑스 역시 3년간 1000억유로의 긴축을 발표했다.
이에 전세계 경제위기의 재발을 염려하는 미국과 긴축의 바람이 불고 있는 유럽은 서로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