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ㆍ개발(R&D) 투자 규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4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2008년 기준으로 정부와 민간 부문을 합친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GDP 대비 3.37%로, OECD 국가 가운데 4위에 올랐다고 11일 밝혔다.
2008년 기준 절대 투자규모는 34조5000억원으로 2001년과 비교해 2배 이상으로 증가해 미국의 9분의1, 일본의 4분의1 수준이다.
투자주체로는 2001년 이후 정부·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각각 25%, 75%로, 민간부문이 우리나라 R&D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민간부문의 대·중소기업 투자비율은 대기업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2001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71%, 29%를 기록한데 이어 2005년 각각 79%, 21%로 격차가 확대됐지만, 2008년 대기업 72%, 중소기업 28%로 격차가 다소 줄었다.
연구개발 단계별로 보면기초연구(16.1%)보다는 상대적으로 응용연구(19.6%)와 개발연구(64.3%) 투자 비중이 높았다. 이같은 기초·응용·연구개발 연구 투자비율은 일본(13.8%, 23.2%, 63%), 미국(17.5%, 22.0%, 60.3%) 등 주요 선진국과 비슷하다.
정부 R&D 예산은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0.5% 증가해 같은 기간의 정부예산 증가율(6.5%)보다 높았다.
부처별로는 올해 기준 지경부 R&D 예산이 4조4169억원으로 전체의 32.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교과부(4조3922억원ㆍ32.1%), 방위사업청(1조7945억원ㆍ13.1%), 국토해양부(5750억원ㆍ4.2%)가 뒤를 이었다.
특히 지경부는 응용·개발연구 비중(69.9%)에 대한 R&D 투자가 높은 반면, 교과부는 기초연구 비중(35.6%)에 대한 투자가 높았다. 또 지경부는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37.7%)이, 교과부는 대학에 대한 지원 비중(50.5%)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올해 지경부 R&D예산은 4조4000억 원으로 정부 R&D예산(13조7000억 원)의 32%를 차지했으며,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12.5% 증가해 같은기간 정부예산 증가율(6.5%)의 2배 수준이었다.
지경부 R&D예산(2009년 기준)은 분야별로 기술개발 분야에 가장 많은 2조3000억 원(60.7%)을 투자했다. 이는 과제당 평균 6억8500만 원씩 총 5611개 과제에 지원한 것이다.
지난해 산업별 투자로는 전력·원자력이 가장 높은 8.8%(1789억 원)를 기록했고, 신재생에너지 8.5%(1738억 원), 항공우주시스템 8.0%(1633억 원), 반도체 6.7%(1359억 원) 순으로 높았다.
또한 지경부 R&D예산은 연구소(38.8%), 중소기업(22.6%), 대기업(15.1%), 대학(10.3%)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전체기업 중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각각 60%(9295억 원), 40%(6187억 원)로 나타났다.
지경부 관계자는 "내년에는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과제 5개에 최대 3000억원씩을 지원하고, 중소ㆍ중견기업의 R&D도 집중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공동 R&D를 촉진하고, R&D 성과물 귀속문제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