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18일 터키 원전 수주 문제와 관련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기간에 가격을 포함한 한-터키 간 정부협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환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터키 방문을 통해 교착상태에 있던 터키 원전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최근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일랜드, 터키 등 4개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최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터키 방문때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장관은 원전 건설에 필요한 자금조달 문제에 대해 "터키 원전은 세계 최초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으로 진행되는 원전 사업"이라며 "필요 재원의 30%는 설립되는 회사 자본으로, 나머지 70%는 PF로 조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쪽에선 PF의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어느 정도 가격을 확보해야 한다고 터키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며 "현재 어느 정도 갭을 가지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장관은 터키 원전의 경영권에 대해서는 "외국회사가 가서 어떻게 원전을 짓고 허가받고 하겠느냐"면서 한국이 아닌 터키 측이 경영권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확인하고 "이 부분에 대해서도 80∼90% 합의됐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또 원전사고에 따른 책임범위에 대해 "글로벌 스탠더드로 가자고 했다"며 "터키정부측 요구를 들어준다면 비용이 들고 결국 전기요금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투르크메니스탄은 육상 가스 세계 2위 보유국인데, 우리나라도 중국처럼 국내에서만 사용할 가스를 도입한다는 구상아래 방법을 찾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그는 "투르크메니스탄과 한국 간 파이프라인 연결이 불가능한 게 문제"라며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확보한 가스를 러시아에 넣어주는 대신 러시아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를 전달받는 스와프는 가능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각국의 통화정책이 상충하면서 '환율전쟁'으로 비화될 조짐이 일자 "골치 아픈 문제"라며 "환율 문제에서 자국 입장만 내세운다면 세계는 공멸로 갈 수밖에 없다"고 최 장관은 우려했다.
그는 "지금 환율 분쟁은 국제적 리더십의 결여에서 나온 문제"라며 "중국, 유럽 등 각각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본에서 우리나라 환율을 문제 삼고 있는 것은 자국의 상품과 우리 상품이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문제에 대해서는 "한-EU FTA로 미국내 분위기가 바뀐 것으로 안다"면서 "우리도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우리측 주장을 관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이슈와 관련해선 "하루 아침에 고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니 신물나도록 열심해 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