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21일(현지시간) 일제히 급락했다.
미국 의회의 재정적자 감축 합의 실패에 대한 불안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유럽 재정위기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도 투자심리를 약화시켰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248.85포인트(2.11%) 급락한 1만1547.3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9.36포인트(1.92%) 내린 2523.14를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192.98로 22.67포인트(1.86%) 떨어졌다.
미국의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초당적 특별위원회인 슈퍼위원회는 오는 23일 활동이 종료된다.
그러나 슈퍼위원회는 마감시한 48시간 전에 의회예산국(CBO)에 합의안을 제출해야 한다는 규칙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날 자정이 마감시한이다.
민주·공화 양당이 감축 방안을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슈퍼위원회가 이날 합의 실패를 선언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슈퍼위원회가 합의에 실패하면 지난 8월 의회 합의에 따라 미국 정부는 자동으로 오는 2013년부터 1조2000억달러의 재정감축을 실시하게 된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코스틴 투자전략가는 “의원들이 미국 국민들의 이익을 위한 최소한의 합의조차 실패한다는 것은 그들의 무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합의 실패 시 S&P500지수가 1100선 이하로 급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날 프랑스의 국가 신용등급이 강등당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무디스는 “유럽 재정위기가 최고 신용등급 국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프랑스 정부의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해 재정적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헝가리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에 금융지원을 요청해 유럽 재정위기가 동유럽 국가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헝가리 정부는 IMF에 신축적 신용공여(FLC) 제공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FLC는 경제 기초가 비교적 건전한 국가들이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을 때 IMF로부터 달러를 빌리는 제도다.
특징종목으로는 휴렛팩커드(HP)가 4.04%, 캐터필러가 2.99%,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5.02% 각각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