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신종 무척추동물 발견…반삭동물문 추가
지난해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우리나라 서식 생물이 총 6만1230종으로 나타났다.
30일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우리나라 서식 생물은 전년보다 1220종 늘어난 6만1230종으로 집계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8년부터 우리나라의 생물종다양성을 보
‘결합은 분해의 역순.’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익숙한 표현이다. 총기를 청소할 때 먼저 덩어리로 나누고 각각의 부품을 하나하나 분해해 닦은 뒤 반대 순서로 결합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처럼 들고 날 때 순서가 반대인 현상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도 만원이라 안에서 자리를 바꿀 수 없으면 늦게 탄 사람이 먼저 내려야
2007년 2만9000여 에서 16년 만에 두 배 이상 늘려나고야의정서로 생물자원 중요성 확산…한반도 생물종 현황 파악 토대 마련
#아프리카 남부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은 선인장과 닮은 '후디아'란 식물을 씹으며 배고픔을 달랬다. 후디아를 씹으면 배고픔이 사라진다는 사실은 수 천 년 이어진 산족의 전통 지식이다. 영국의 한 제약회사는 2001년 후디아에서
국내 연구진이 자외선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발견했다. 정부는 국가적으로 이를 관리하기 위해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예정이며, 연구진은 이 미생물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16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생물자원관은 인천대 서명지 교수 연구진과 함께한 공동연구를 통해 자외선에 내성을 가진 국내 미기록 극호염성 고균 16
지난해 1800여 종의 자생생물이 새롭게 추가돼 국가생물종이 5만8000여 종을 넘어섰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자원 종합 목록 구축사업’을 통해 지난해 말 기준 1802종이 새로 추가돼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자생생물 종 수가 5만8050종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척추동물 2074종과 △무척추동물 3만 867종 △식물 56
"폐암 세포 억제 효과 커…9월 특허 출원 완료""이달 안 논문 발표…항암 약 개발 등 추가 연구 진행할 것"
국내 연구진이 방선균의 유전체를 이용해 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개발했다. 현재 특허 출원은 완료된 상태이며 연구진은 이달 안에 논문을 발표하고 향후 항암 약 개발 등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담수
새벽에 눈 떠 보니 커튼을 젖힌 창 밖에 바다가 한가득 밀려와 있다. 남쪽의 해안도시 통영에서 맞은 푸르스름한 물색의 아침이다. 내륙 깊숙이 들어온 바다는 파도가 없이 잔잔하다. 바다가 가슴이 설렐 만큼 아름답지는 않다. 바지선과 거대한 크레인, 작은 어선과 여객선이 떠 있고, 내륙은 통영 세관, 가게와 음식점들, 도로 안쪽으로는 활어와 건어물을 파는 재래
트랜지스터와 청색 LED(발광 다이오드)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트랜지스터는 전자공학시대를 열었고 청색 LED는 효율적인 인공조명시대를 개척했으니, 새로운 문명을 이끌어낸 위대한 발명품이란 점을 우선 꼽을 수 있겠다. AT&T의 벨연구소와 니치아화학이라는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에 발명자로 기재된 존 바딘과 나카무라 슈지가 노벨상을 받았다는 사실도 빼놓을 수 없
폐수 속에서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박테리아의 존재가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박희등 고려대 교수진과 '오염환경 서식 원핵생물 연구'를 진행해 신경계 독성물질인 이미노디프로피오니트릴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파라코커스 코뮤니스'를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독성물질은 살충제와 염료 등 용매를 제조할 때 원료물질로 사용되거나 화학제품을 제조할 때 발생한다
빙어와 참붕어 등 담수생물의 내장에서 새로운 미생물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미생물을 분석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성분을 찾아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빙어와 참붕어 등 담수생물 내장에서 신종 2종, 미기록종 36종 등 총 38종의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진은 올해 1월부터 춘천 소양호, 인제 빙어호 등 12곳에서 빙어, 참붕어, 토
담수 생물자원 주권 확보에 중추 역할을 담당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28일 공식 개관된다.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강변에 위치한 낙동강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관리 강화ㆍ생물다양성 보전’의 일환으로 지난 2009년부터 추진됐으며, 국가 생물주권 확보와 생물산업(BT)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물자원을 원천소재로 한 생물산업(BT)은
우리나라가 5년 만에 원핵생물에서 새로운 강(綱)을 발굴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2011년 원핵생물과 균류(菌類) 분야에 대한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통해 원핵생물(세포핵이 없는 원핵세포로 이뤄진 세균 등의 생물)에서 핌브리이모나디아(Fimbriimonadia)라는 새로운 강을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강(綱, Class)은 생물 분류체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