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도의 주택사업경기 전망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대출 규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계엄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시장 상황이 괜찮은 것으로 평가되던 지역에 대해서도 부정적 시각이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1.6포인트(p) 상승한 73.2를
iM증권은 단기 자금 운용에 활용할 수 있는 ‘iM 스마트 소액국채 랩’을 판매한다고 18일 밝혔다.
iM 스마트 소액국채 랩은 일임형 상품으로 소액국채 투자를 통해 시중금리보다 높은 성과를 추구한다. 자산 대부분을 소액권으로 거래되는 첨가소화채권 중 국채인 국민주택1종 채권에 투자한다. 국민주택 1종 채권은 정부에서 국민주택사업 자금조달 목적으로 발
정부가 전세 제도의 문제점을 정면으로 지적하며 기업이 운영하는 임대주택이라는 대체 카드를 내밀었다. 양질의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기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유인책이 다소 애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신유형 장기임대주택 도입 필요성과 추진방향' 정책토론회에서는 신유형 장기임대의 필요성과 극
올해 10대 건설사가 공급하는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등의 여파로 공사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15일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의 올해 분양 계획 물량은 10만7612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15만5892가구)의 69% 수준을 차지하는 물량으로 약 5만가구가 줄어든 것
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증가했다. 정치적 불안 등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돼 기존 집을 팔리지 않은 게 주요인이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입주율이 63.5%로 전월보다 6.2%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분양을 받고 입주하지 않은 아파트가 10가구 중 3곳 수준이었는데 4가구 정도로 늘어난 셈이다.
수도권은 79.9%에서
황상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이 신혼부부 장기전세주택 '미리 내 집' 공급 확대를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황 사장은 11일 서울 중구의 한 중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울시의 저출생 정책인 미리 내 집 공급에 집중하겠다"며 "성뒤 마을, 구룡마을 등 강남쪽으로 공급을 많이 하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주택사업자들의 미분양 우려가 1년여 만에 최고조로 치솟았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리 부담 등으로 매수세가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미분양물량 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0.7포인트(p) 상승한 11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115.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과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도입한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이 서민을 울리는 복병으로 변모했다. 숱한 사업 지연과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분담금을 둘러싼 흉흉한 소문이 끊이지 않지만, 일부 성공 사례에 희망을 품는 투자자 또한 적지 않은 상황이다.
11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광진구 군자동 일원에 지역주택조합 사업인 ‘광진 벨라듀’(
오래 기억되는 브랜드는 트렌드에 따라 이름을 바꾸지 않습니다.
최근 대형 건설사 사이에선 하이엔드 브랜드 경쟁이 치열하다. 브랜드 이원화를 통해 프리미엄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시도다. 그러나 삼성물산 건설부문(삼성물산)은 2000년부터 래미안 ‘외길’을 걷고 있다. 건설업계 하이엔드 브랜드의 홍수 시대, 김주영 삼성물산 주택영업전략팀장에게 래미안만의 전략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에 조성되는 문화공원 관리동을 에너지 자립률 200%인 'RE200' 건축물로 짓는다.
6일 GH에 따르면 정부는 고단열, 고기밀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제로에너지 건축을 확산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올
DL이앤씨는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2024년 연간 매출 8조3184억 원과 영업이익 2709억 원이 예상된다고 6일 공시했다.
이날 DL이앤씨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매출은 2023년보다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8% 줄었다.
DL이앤씨 측은 "자회사인 DL건설이 일부 현장의 원가율 조정과 대손 반영함에 따라 2023년 대비 영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 전 2600억 원 상당의 주택분양보증을 발급했음이 드러났다. 건설사의 재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보증을 발급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HUG 측은 건설사 유동성 위기에 대응할 사후관리 절차를 갖추고 있다고 해명했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중구)이 HUG가 제출한
GS건설은 지난해 매출액이 12조8638억 원으로 전년보다 4.3% 감소했다고 5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862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신규수주는 전년보다 95.5% 증가한 19조9100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업본부별 매출을 보면 건축주택사업본부가 10조2371억 원에서 9조5109억 원으로 7.1% 감소했다. 인프라사업본부
대구 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3년 넘게 이어진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금리 인하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정상화 등 제반 여건이 우호적으로 전환됐으나 그간 내려간 집값 영향으로 수요자 관망세가 짙어져서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셋째 주(20일 기준) 대구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6%로 전주(-0.15%) 대비
부동산 상승기에 급성장한 프롭테크 기업들이 새 먹거리 찾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장 침체로 성장 동력이 약해지고 수익성도 악화했기 때문이다. 불황을 타개할 신규 사업모델 마련과 함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3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직방은 최근 AI 탑재 스마트도어록 ‘헤이븐’(Haven)을 출시했다. 2022년 삼성SDS 홈Io
서울시는 제2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총 4건의 모아타운·모아주택에 대한 통합심의를 통과시켰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안건은 △중랑구 면목본동 63-1일대 모아타운 △강동구 성내동 517-4일대 모아주택 △성북구 정릉동 385-1일대 모아주택 △광진구 화양동 32-12일대 모아주택이다. 이를 통해 공급 예정인 모아주택은 총 1
서울 내 대규모 아파트 단지 수요가 뚝 끊겼다. 강북과 강남 핵심지역에서 대단지 입주장이 시작됐지만, 분양권·입주권(분양권) 시장은 잠잠하다. 분양권 가격은 서울 아파트값 약세와 맞물려 최근 들어선 지난해 3분기 때보다 낮은 금액에 손바뀜 중이다. 전세도 매매수요 둔화와 입주 환경 악화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적체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24일 건설업계에 따
아파트 브랜드 ‘파밀리에’로 이름을 알린 중견 건설사 신동아건설의 회생 절차가 시작됐다. 동시에 신동아건설과 각종 건설 사업을 수행 중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도 불똥이 튀었다. 시공사가 바뀌거나 공사가 중단될 수 있어 사업장별 맞춤 대책이 요구된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 서울회생법원은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개시를 결정했다. 자금 사정 악화와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조이기로 수요자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국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중견 건설사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개시와 주요 건설사 공사 미수금 증가 등 시장 불안요인이 늘어나며 이 같은 흐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 -0.07%로 전월(
새해 첫 달 20여일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GS건설은 부산과 서울 등에서 잇따라 도시정비사업에서 수주고를 올리고 있다. 수주 규모만 1조7000억 원에 육박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건설은 6498억 원 규모의 서울 중랑구 중화5구역 공공재개발 정비 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공시했다.
이 사업은 중랑구 중화동 122번지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