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실적 행진'에도 웃지 못하는 보험사들

입력 2025-02-09 15:15 수정 2025-02-10 06: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09 15:1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내 주요 보험사들이 지난해 실적 진기록 행진에도 건전성 관리가 '발등의 불'이 됐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실적을 공개한 주요 보험사(삼성생명·한화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의 연결기준 지난해 순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보험사별로 삼성생명은 2조2603억 원으로 11.1% 증가했다. 한화생명도 8660억 원으로 4.8% 늘었다.

손해보험사도 성장가도를 달렸다. 삼성화재(2조7675억 원)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14.0% 늘었고 △현대해상(8505억 원) 48.1% △DB손보 (1조8609억 원) 6.8% △KB손보(8395억 원) 17.7% △메리츠화재(1조7135억 원)가 9.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자본 건전성에는 불확실성이 크다. 특히 중요 지표인 지급여력(K-ICS) 비율이 내림세다. K-ICS 비율은 가입자가 보험 계약을 동시에 해지했을 때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능력을 수치화한 지표다. 보험업법상 최소 기준치는 100%, 금융당국 권고 기준은 150% 이상이다.

금리 인하와 주가 하락 등 외부 요인이 겹치면서 재무 건전성에는 더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삼성생명의 경우 최근 삼성전자 주가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지난해 3분기 말 K-ICS 비율이 193.5%에 그쳤다. 이는 전 분기(201.5%)에 비해 8.0%p 하락한 수치다.

무·저해지보험의 해지율 가이드라인도 건전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보험사들이 지난해 판매를 늘린 무·저해지보험의 해지율 산정에 대해 금융당국은 원칙모형을 제시했다. 해지율을 낮게 잡은 해당 모형을 적용할 경우 보험사의 K-ICS 비율이 20%포인트(p) 하락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자본력이 약한 중·소형사는 재무 건전성이 흔들릴 위험이 더 크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롯데손해보험에 대한 정기검사를 한 지 약 한 달 만에 다시 수시검사를 실시해 재무 건전성을 살펴보고 있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K-ICS 비율은 128.7%로 집계됐다. 경과조치 후 수치는 159.8%로 금융당국 권고 기준을 웃돌았다. 경과조치는 K-ICS 제도 도입으로 인한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신규위험액 측정 등을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과거 지급여력(RBC) 제도와 달리 K-ICS는 부채를 시가 평가하다 보니 금리 리스크가 실시간으로 반영돼 현재 불안정한 금융 상황에 대한 민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퀀텀시대] 파괴적 혁신…‘퀀텀 혁명’으로 달라질 세상은
  • '초대 챔피언' 팀 스프린트 금메달…김민선·이나현·김민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10: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761,000
    • -1.58%
    • 이더리움
    • 3,990,000
    • -2.18%
    • 비트코인 캐시
    • 494,000
    • -0.84%
    • 리플
    • 3,622
    • -3.1%
    • 솔라나
    • 307,600
    • -0.61%
    • 에이다
    • 1,040
    • -3.88%
    • 이오스
    • 919
    • -1.82%
    • 트론
    • 352
    • -1.68%
    • 스텔라루멘
    • 474
    • -7.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00
    • -3.09%
    • 체인링크
    • 27,730
    • -2.29%
    • 샌드박스
    • 570
    • -4.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