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영문 공시 확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입력 2025-02-09 12:00 수정 2025-02-09 16: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원, 영문 콘텐츠 확대 및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오픈 다트)’ 신규 오픈
인프라 개선 통해, 외국 투자자 유치 확대

앞으로 외국인투자자들도 국내 투자자처럼 상장기업의 공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접근해 활용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상장기업의 영문공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83종의 영문공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문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 ‘오픈 다트(Open DART)’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9일 밝혔다.

2023년 7월 법정공시 제출 즉시 다트에서 영문으로 공시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영문공시 서비스를 개선했다. 하지만 편의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됐다.

금감원은 오픈 다트 서비스 시작과 영문콘텐츠 확대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투자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오픈 다트는 외국인투자자들도 공시원문을 실시간으로 다운받거나 웹화면에서 원하는 항목을 엑셀파일로 직접 추출해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장사 전체 국제표준 전산언어(XBRL) 주석을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등 정보 수집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이를 통해 상장사 전체에 대한 주석을 텍트트 파일로 한번에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외국인투자자들이 법정공시 주요항목을 영문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도 대폭 확대한다.

사업보고서 등 모든 법정공시(공정위 공시 포함)의 목차 및 표(행·열) 서식(레이블), 선택형 입력값(등기임원 종류, 상근여부, 주식 종류 등) 등 정형화된 내용을 영문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금감원은 이번 조치로 외국인투자자의 영문 다트 접속 건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영문 다트 접속 건수는 7만8870건으로 전년(3만9079건) 보다 101.8% 늘었다.

금감원은 "이번 영문 콘텐츠 확대 및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 신규 제공으로 영문 다트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며 "비영어권 국가(일본·중국 등)와 달리, 모든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고 영문공시 정보 제공 범위가 더 넓어졌다는 점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올 하반기 외국인투자자에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영문 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문 다트 전용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퀀텀시대] 파괴적 혁신…‘퀀텀 혁명’으로 달라질 세상은
  • '초대 챔피언' 팀 스프린트 금메달…김민선·이나현·김민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11: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05,000
    • -2.24%
    • 이더리움
    • 3,937,000
    • -3.72%
    • 비트코인 캐시
    • 486,600
    • -2.48%
    • 리플
    • 3,576
    • -5.2%
    • 솔라나
    • 302,200
    • -2.92%
    • 에이다
    • 1,020
    • -6.16%
    • 이오스
    • 901
    • -4.15%
    • 트론
    • 350
    • -2.23%
    • 스텔라루멘
    • 467
    • -9.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450
    • -4.96%
    • 체인링크
    • 27,160
    • -4.9%
    • 샌드박스
    • 558
    • -7.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