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 작년 연매출 첫 ‘4조 클럽’ 입성…하이트진로도 3.1%↑주류사업 부문, 불황 속 소주 등 일부 품목만 선방…매출 감소 추세도허리띠 졸라매 수익성 개선 이뤄…상품 점유율 하락 동반 우려 제기
국내 주류업체 투톱인 롯데칠성음료와 하이트진로가 지난해와 4분기 실적을 나란히 발표했다. 경기 위축에 따른 소비 둔화와 음주문화 변화 등 여러 악재가 이
롯데칠성음료가 지난해 처음으로 연 매출 4조 클럽에 입성했다. 내수 부진 속 음료사업 전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새로 등을 중심으로 주류사업이 흑자로 전환하면서 실적을 끌어올릴 것이다. 해외 수출도 상승세를 탔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4조245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당뇨ㆍ대사질환 등 예방 효과제로슈거 제품도 혈당 관리 일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혈당 조절 식품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젊은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는 데다가 당뇨병 환자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도 혈당 관리에 나섰다.
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혈당 조절 식품과 건강기능식품(건기식) 판매가 늘고 있다.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자는 ‘헬시플레
건강과 함께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의미의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가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면서 식음료업계도 당류를 줄이거나 없앤 제로슈거·저당 제품을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동서식품은 스테디셀러인 커피믹스 제품을 제로슈거 버전으로 신제품을 선보였고 던킨도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저당 디저트을 내놨다. 동원F&B와 일화는 각각 저당 가공 우유와
"짭짤해야 제 맛? 이제는 옛말"…햄 이어 고추장ㆍ된장도 '저나트륨' 동참당류도 '제로버전' 시대…'먹는 죄책감 줄이고 건강한 다이어트 유도' 방점
식품기업들이 연초 ‘로우스펙 푸드(Low spec food)’ 제품 출시에 주력하고 있다. 로우스펙 푸드는 칼로리, 당, 알코올, 화학첨가물 등을 줄이면서도 맛은 기존과 최대한 비슷하게 유지하는게 관건이다.
롯데칠성음료가 2022년 9월 중순 처음 선보인 소주 ‘새로’가 7월 말 기준 누적 판매량 4억 병을 돌파하며 소주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새로는 출시 당시 기존 소주 제품과 달리 과당을 사용하지 않은 ‘제로 슈거(zero sugar)’ 소주로 주목받았다. 소주 고유의 맛을 지키기 위해 증류식 소주를 첨가하고 주류 제품의 영양성분 표시를 선제적으
제로슈거·저도주로 2022년 9월 첫선출시 22개월 만에 4억 병 판매 돌파
“기존 소주 시장의 모든 것을 새롭게 바꾸자는 각오로 탄생한 것이 ‘새로’입니다. 네이밍과 브랜드 스토리부터 패키지 디자인, 광고, 마케팅까지 기존에 소주 브랜드가 하던 전략을 모두 버리고, 철저히 MZ세대에 집중한 전략이 성공 요인이라고 생각해요.”
롯데칠성음료(롯데칠성)
3일 ‘2024 대한민국 광고대상’서 소셜커뮤니케이션 부문 금상2022년 9월 출시한 소주 ‘새로’, 출시 22개월 만에 4억 병 판매 돌파
롯데칠성음료는 제로슈거 소주 ‘새로’가 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광고대상’에서 소셜커뮤니케이션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올해로 31회를 맞는 대한민국 광고대상은 대한민
롯데칠성음료가 2022년 9월 첫선을 보인 ‘새로’는 과당을 사용하지 않은 ‘제로슈거(Zero Sugar)’소주의 대표 주자다.
새로는 ‘부드러운 목 넘김과 알코올 특유의 향이 덜해 마시기 편하다’ 등의 평가를 받으며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고 출시 이후 4개월여 만에 누적 판매량 5000만 병을 돌파했다. 출시 7개월여 만에 누적 판매 1억 병을 넘
아시아 최초 커피 박람회로 시작한 ‘2024 서울카페쇼’가 6일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했다.
개막식에 맞춰 찾은 서울카페쇼는 역대 최대 규모답게 커피, 차, 베이커리, 원·부재료뿐 아니라 장비, 설비 등 부스까지 들어섰다. 예비 사업자, 카페 운영자, 업계 관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부스를 꼼꼼히 살펴봤다. 현장에서 체감한 커피 산업 트렌드는
롯데칠성음료는 제로슈거 소주 '새로'의 광고 애니메이션 '새로구미뎐: 산 257' 시리즈가 합산 조회수 1000만 회를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광고 시리즈는 2편으로 구성됐으며 이날 오전 8시 기준 1편 650만 회, 2편 418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새로를 출시하며 구미호 캐릭터를 브랜드 앰버서더로 선정하고 전통적 감성에 현대적
100년 소주 ‘진로’가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이트진로는 진로의 헤리티지를 더욱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라벨 디자인으로 새로 단장했다. 하이트진로는 대한민국 제로슈거 소주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진로만의 특색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해 디자인 리뉴얼을 처음 기획했다.
하이트진로는 진로의 시그니처인 스카이블루병과 라벨 전체 블루톤
삼양사가 일본과 미국에서 열리는 식품전시회에 참가하며 해외 판로 확대에 나섰다.
삼양사는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식품전시회 ‘하이 재팬 2024(HI(Health Ingredients) Japan 2024)’에 참가해 스페셜티 식품 소재를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하이 재팬은 630여 개 글로벌 식품소재 기업과 유통사가 참가
“명확한 브랜드 스토리가 있어야만 하고, 소비자들이 이 브랜드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요소가 있어야만 한다.” 전통시장의 무말랭이 만두를 미국에 선보이며 글로벌로 진출한 이지은 육거리소문난 만두 대표의 당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서울 중구 커뮤니티 마실에서 ‘성장 경쟁력 확충을 위한 전통시장의 혁신’을 주제로 ‘전통시장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테라 라이트가 낮은 칼로리와 맥주다운 풍미로 시장을 공략한다.
하이트진로는 테라 라이트 출시 이후 전체 맥주의 유흥용 500㎖병 출고량이 직전 3개월 대비 15.2%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8월 가정용 시장을 살펴보면, 소비자의 선택지가 가장 많은 대형마트 채널에서 테라 라이트는 2위 브랜드와 점유율 격차를 두 배 이상 벌리며 2개월 연속
이마트는 북미 1위 라이트 맥주 ‘미켈롭 울트라’를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단독 판매한다고 18일
밝혔다.
미켈롭 울트라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골프장에서만 즐길 수 있어 ‘골프장 맥주’로도 불린다. 이 달부터는 이마트와 트레이더스에서 ‘단독 론칭’으로 만나볼 수 있다.
이마트는 미켈롭 울트라(330㎖)를 5캔 구매 시 9800원에 판매한다. 트레이더
오비맥주 ‘카스 라이트 제로 슈거’ 모델에 오상욱제품 선물ㆍ격려금 등 간접적 광고 효과 노리기도
식품·유통업계가 파리올림픽에서 활약한 선수들을 잇달아 제품 모델로 발탁, 마케팅 효과를 노리고 있다. 특히 경기 중간 간식 ‘먹방’으로 화제가 된 신유빈(탁구), 펜싱 2관왕을 달성한 오상욱 선수 모시기 경쟁이 치열하다.
19일 식품·유통업계에 따르면 빙그레
하이트진로는 맥주 신제품 ‘테라라이트’가 출시 2주 만에 1000만 병 판매를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1초에 약 8.2병 판매한 수준이다. 하이트진로는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테라 라이트의 판매 속도에 맞춰 생산량을 기존 계획 대비 1.5배 이상 늘렸다.
점유율 상승도 눈에 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테라 라이트는 7월 전국 대형마트
하이트진로의 대표 소주 ‘진로’가 탄생 100주년을 맞았다. 현재 우리나라 최장수 브랜드로 K-소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이트진로가 과거의 진로를 재해석해 2019년 새로 출시한 일명 두꺼비 소주 ‘진로이즈백’의 누적 판매량은 올해 4월 기준 19억 병을 돌파했다. 이는 1초에 13병꼴로 팔린 수치다. 일제강점기에 출시했던 오리지널 진로의 판매
최근 기업가치 1.1조원 인정받아...유니콘 눈 앞무알콜만 판매하는 애슬레틱, 전체 20위 브랜드로 성장작년에만 1억 캔 판매
최근 국내에서 제로슈거와 무알코올 맥주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무알코올 맥주가 대세로 떠올랐다. 이에 무알코올 맥주를 만드는 신생 양조업체도 벤처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고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