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일부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를 지시한 의혹에 대해 답변을 거부했다.
이 전 장관은 4일 국회에서 열린 ‘내란 국조특위’(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관련 질의를 했지만 “증언하지 않겠다”고 했다.
앞서 전날(3일) 공개된 A4 용지 101쪽 분량 검찰의 윤 대통령 공소장에는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대통령집무실로 온 이 전 장관에게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 단수를 하라’고 적힌 문건을 보여주며 지시를 내렸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용 의원이 “계엄 직전 피의자 윤석열로부터 언론사와 여론조사 기관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단수하라는 문건을 받아본 적이 있냐”고 물자 이 전 장관은 “증언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반면 같은 질문에 허석곤 소방청장은 계엄 선포 당일 이 전 장관과 “통화한 바 있다”고 답했다. 용 의원이 “이 전 장관으로부터 단전·단수 요청을 소방청에서 받은 게 있냐”고 묻자, 허 청장은 “그렇게 기억하고 있다”고 답했다.
용 의원의 “이 전 장관은 시종일관 부정하고 있다. 그러면 허 청장과 이 전 장관 둘 중 하나는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 장관이 거짓말을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엔 “제가 말씀드릴 사항은 아니다. 제 기억에 따라 증인했다”고 반응했다.
한편 이날 특위는 국정조사에 증인으로 참석하지 않은 윤 대통령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아울러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강의구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도 오후 2시까지 출석하도록 동행명령장 발부 안건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