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리버풀전 0-4 대패에 맹비난…"주장 자격 없어, 부끄러운 성적"

입력 2025-02-09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손흥민 (로이터/연합뉴스)
▲손흥민 (로이터/연합뉴스)

손흥민이 토트넘의 주장으로서 맹공격을 받고 있다.

지난 7일 토트넘은 영국 리버풀의 안필드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카라바오컵(리그컵) 준결승 2차전에서 리버풀을 상대로 0-4 대패했다.

이날 토트넘은 전반전에 선제골을 내주며 힘겨운 싸움을 이어갔다. 결국 후반전에서는 시작 4분 만에 추가골을 내줬고, 뒤이어 추가 실점이 이어지며 0-4로 패했다.

선발 출전한 손흥민은 스코어를 뒤집기 위해 고군분투했으나, 후반 33분 날린 왼발 슈팅이 리버풀의 골대를 맞고 튕겨 나오며 골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결국 지난달 0-1로 패한 리버풀은 합계 4-1로 승부를 뒤집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대패를 맞본 토트넘은 다시 무관 위기에 봉착했다. 현재 토트넘의 프리미어리그 순위는 14위다. 우승컵도 물 건너간 상황에서 모든 책임은 주장 손흥민에게 쏠렸다.

토트넘 소식을 다루는 ‘토트넘 홋스퍼 뉴스’는 “토트넘의 주장은 비효율적이었고 마지막 기회마저 놓치며 토트넘 팬들을 실망시켰다”라고 평했다.

영국 매체 ‘스퍼스 웹’ 역시 “10대 선수들보다 리더십이 부족하다”라며 “손흥민은 대부분의 기회를 낭비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내렸고 부끄러운 성적을 냈다”라고 비난했다.

토트넘 출신 해설가 제이미 래드냅 역시 “나는 손흥민이 주장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손흥민이 리더로서 팀을 이끄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대체 손흥민이 하는 일이 무엇인가”라고 맹렬한 혹평을 쏟아냈다.

이같은 상황에서 손흥민에 대한 방출설도 합세했다. 손흥민의 기량이 더 이상 예전 같지 않다며 현금화할 때가 왔다는 평을 내놨다. 강철이라 불리던 그가 허벅지 부상으로 이번 시즌 두 차례 결장하면서 이제는 그를 팔아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이는 무려 10년 가까이 토트넘에 헌신한 손흥민에게는 착잡한 평이 아닐 수 없다.

현재 손흥민은 지난 1월 토트넘과 1년 연장 옵션을 발동했다. 이적과 재계약을 두고 온갖 소문에 시달리던 손흥민은 앞으로 2026년 여름까지 토트넘에서 뛰면서 재계약을 협상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이거 대본 아니죠?"…이영자→주병진, 우리는 왜 '중년의 사랑'에 열광할까 [이슈크래커]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 보니 [데이터클립]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960,000
    • -0.62%
    • 이더리움
    • 4,018,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498,200
    • -0.86%
    • 리플
    • 3,656
    • -1.61%
    • 솔라나
    • 306,300
    • -0.39%
    • 에이다
    • 1,057
    • -0.38%
    • 이오스
    • 966
    • +3.32%
    • 트론
    • 361
    • -0.55%
    • 스텔라루멘
    • 473
    • -4.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500
    • -1.57%
    • 체인링크
    • 28,100
    • -2.09%
    • 샌드박스
    • 589
    • -0.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