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잿빛된 경제 진단..."내수회복 지연·고용애로 지속 하방압력↑"

입력 2025-02-14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재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경제 진단이 한층 더 어둡게 조정됐다. 정부는 지난달 고용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포함된 데 있어 이번 달에는 소비·건설투자 회복 지연, 미국 관세 부과 현실화까지 더해지면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경기 하방 요인으로 '고용 둔화'를 추가한 데 이어 이번에는 소비·건설투자 회복 지연, 미국 관세 부과 현실화까지 포함하면서 현재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드러낸 것이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사태 이후 탄핵 정국이 장기화한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하고 의미로 해석된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달과 비교하면 경기 진단에 대한 인식은 같고 '소비 내수회복 지연'이라는 문구가 추가됐는데 이는 소비 관련해 (정부의) 인식이 달라졌다기보다는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실적을 반영해 추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용은 지난달 '둔화'라는 표현을 썼지만, 이번에는 취업자 수가 증가로 전환했기 때문에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했다는 표현으로 바꿨다"고 부연했다.

최근 내수 관련 지표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혼란과 건설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전 월 대비 4.6%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 설비투자, 건설투자도 각각 1.7%, 13.1%, 건설투자 1.3% 증가했다. 그러나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각각 감소했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1.2로 전월보다 3.0포인트(p)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값(100)을 밑돌았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고용 지표는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1월 취업자 수는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증가했다. 그러나 건설업·제조업 등 주요 업종의 일자리는 오랜 기간 감소세를 보인다.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감소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7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21만8000명 줄며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도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조 과장은 "회복세를 보인다는 표현이 빠진 것은 현재는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앞으로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세계 경제에서 주목할 부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문구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빨리 이뤄진 것 같긴 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4p 하락한 85.9를 기록했다. 코로나 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9월 83.4 이후 가장 낮다. 다만 CBSI 전망은 85.4로 전월과 비교해 2.5p 상승했다.

수출은 지난달 전년 동월 대비 10.3%가량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설 연휴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조업일수가 4일 적은 게 영향을 끼쳤다. 이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하며 5개월 만에 2%대에 다시 진입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최근 고환율 기조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물가를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 서민 금융,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신속히 마련·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 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 리스크 대응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조 과장은 대응방안과 관련해 "통상환경 불확실성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지원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표현을 추가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美 증시 상승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약세 국면 진입 [Bit코인]
  • 한국인 10명 중 2명 "가까운 일본, 아무 때나 간다" [데이터클립]
  • 故 김새론, 오늘(19일) 발인…유족ㆍ친구 눈물 속 영면
  • “中 반도체 굴기,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소상공인 카페 매출 10% 급감 vs 스타벅스 사상 최대 실적 [소비재 시장 양극화]
  • [상보] 우크라 종전 가속화…트럼프 “아마도 이달 내 푸틴 만날 것”
  • 단독 대법원도 ‘테라‧루나’ 증권성 인정 안해…신현성 재산몰수 재항고 기각
  • 오늘의 상승종목

  • 02.19 14: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482,000
    • -1.13%
    • 이더리움
    • 4,015,000
    • -0.54%
    • 비트코인 캐시
    • 469,000
    • -2.54%
    • 리플
    • 3,779
    • -3.92%
    • 솔라나
    • 248,400
    • -4.79%
    • 에이다
    • 1,106
    • -7.21%
    • 이오스
    • 908
    • -3.3%
    • 트론
    • 364
    • +1.11%
    • 스텔라루멘
    • 485
    • -1.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00
    • -4.55%
    • 체인링크
    • 26,260
    • -5.61%
    • 샌드박스
    • 530
    • -8.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