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월 소비자물가 0.5%↑…춘제 소비에 디플레 우려 잠깐 덜어

입력 2025-02-09 14: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춘제 연휴 소비로 물가 하락세 일시적 완화
생산자물가지수는 여전히 2.3% 하락
연휴 끝난 뒤 관건...관세 전쟁도 불안요소

▲4일 중국 상하이 훙차오 기차역에 여행객들이 몰려 있다. EPA연합뉴스
▲4일 중국 상하이 훙차오 기차역에 여행객들이 몰려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달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5% 상승해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물가상승률이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던 가운데 춘제(설) 소비 영향으로 물가 상승 속도가 빨라졌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일 1월 CPI가 연간 기준 0.5% 상승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월별 연 기준 CPI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를 기록한 뒤 상승폭이 둔화해 지난해 12월에는 0.1%에 그쳤다.

그런데 1월 CPI 상승률이 전월 상승률보다 0.4%포인트(p) 높을 뿐 아니라 블룸버그가 집계한 경제학자들의 중간 예측치(0.4%)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간의 춘제 연휴로 일시적으로 소비가 증가하자 디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됐다. 특히 여행‧항공권‧문화 등 서비스 부문 가격이 0.9% 상승해 연휴가 전체 CPI 상승률의 5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3% 하락해 28개월 연속 디플레이션 우려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연휴 효과가 사라지면 다시 디플레이션 우려가 반복될 수 있고, 미국과의 관세 전쟁도 내수 위기를 부추길 수 있는 불안 요소라는 지적이 나온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이미 정부 지출을 늘리고 금리를 인하하는 등 소비를 끌어올리기 위한 경기부양책을 시사했다.

중국은 물가 상승을 걱정하는 다른 주요 국가들과 달리 디플레이션이 지속돼 경기침체를 걱정하고 있다. 물가 하락으로 가계 소비가 더 오래 위축되고 기업 수익이 줄고, 투자를 위축시켜 결국 임금 삭감과 해고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고착화될 위험성이 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퀀텀시대] 파괴적 혁신…‘퀀텀 혁명’으로 달라질 세상은
  • '초대 챔피언' 팀 스프린트 금메달…김민선·이나현·김민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10: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60,000
    • -1.97%
    • 이더리움
    • 3,943,000
    • -3.31%
    • 비트코인 캐시
    • 487,800
    • -1.99%
    • 리플
    • 3,599
    • -4.15%
    • 솔라나
    • 304,600
    • -1.77%
    • 에이다
    • 1,025
    • -5.27%
    • 이오스
    • 906
    • -3.21%
    • 트론
    • 349
    • -2.51%
    • 스텔라루멘
    • 468
    • -8.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850
    • -4.23%
    • 체인링크
    • 27,250
    • -4.08%
    • 샌드박스
    • 562
    • -6.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