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조치 일주일 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오사카(일본)/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05134406_2133192_1200_80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오사카(일본)/AP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주미 중국 대사관은 중국시간으로 10일 0시 1분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발효됐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 정부는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 농기계, 대형차 등에 10%의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미국 정부가 4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 데 따른 보복 조치였다. 관세 대상 품목은 지난해 기준 14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다. 동시에 미국 의류 브랜드인 캘빈클라인과 타미힐피거의 모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애초 중국이 보복 관세 부과 시점을 미국 개시로부터 약 일주일 뒤로 정한 것에 대해 광범위한 무역 갈등을 피하기 위한 협상의 여지를 마련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그러나 마감 시한까지 협상 소식은 들리지 않았다고 FT는 설명했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발표는 이미 전 세계적인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미국 경제에도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관세 부과는 미국의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미국의 경쟁 생태계를 악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