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경 식약처장 “국산 조리로봇, 글로벌 진출 적극 지원”

입력 2025-02-10 14:47 수정 2025-02-10 14: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일 경기 성남시 삼성웰스토리 본사 방문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제도 활성화 논의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오른쪽)과 정해린 삼성웰스토리 대표(가운데)가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서 자동화 식품용 기기를 함께 살피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오른쪽)과 정해린 삼성웰스토리 대표(가운데)가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서 자동화 식품용 기기를 함께 살피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식약처의 인증제도를 통해 우수한 국산 조리로봇 등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10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삼성웰스토리 본사에서 ‘식품용 기기의 안전관리 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식품안전은 식재료뿐만 아니라 조리 도구의 위생·안전관리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오 처장은 “지난해 11월에 조리용 로봇과 같은 자동화 식품 기술에 대한 안전 관리 기능제를 도입한 바 있다”면서 “업계 건의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인증제도가 조기 정착되고 현장에서 산업 성장과 수출 확대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문은 최근 집단급식소 등을 중심으로 자동화 식품용 기기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제도’ 시범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식약처는 ‘규제혁신 3.0’의 목적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자동화 식품용 기기의 안전관리 강화와 조리로봇 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 기준’을 마련하고 현재까지 조리로봇용 그리퍼 바 등 3개 제품을 인증했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오 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삼성웰스토리가 로봇 제조업체와 공동 개발한 다양한 자동화 식품용 기기도 함께 살피며 식약처에서 추진 중인 조리로봇 안전관리 인증의 적극적 참여를 당부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는 △부품 설계 변경 시 추가 인증 면제 △세부 인증 절차·방법 등의 전담 상담 창구 마련 △적극적인 제도 홍보 등 다양한 건의도 제시했다.

식약처는 향후 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급변하는 식품산업 환경에 발맞춘 선진 식품안전정책을 지속 개발·추진하고 산업 성장과 수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서 열린 간담회 자리에서 업계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1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에서 열린 간담회 자리에서 업계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이거 대본 아니죠?"…이영자→주병진, 우리는 왜 '중년의 사랑'에 열광할까 [이슈크래커]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 보니 [데이터클립]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43,000
    • +0.21%
    • 이더리움
    • 4,073,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501,500
    • +0.66%
    • 리플
    • 3,695
    • +0%
    • 솔라나
    • 307,400
    • +0.23%
    • 에이다
    • 1,067
    • +1.14%
    • 이오스
    • 975
    • +4.61%
    • 트론
    • 367
    • +1.38%
    • 스텔라루멘
    • 478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00
    • -0.08%
    • 체인링크
    • 28,630
    • +0.35%
    • 샌드박스
    • 604
    • +3.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