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은 일본 후생노동성으로부터 지방 줄기세포를 이용한 2종 재생의료 제공 계획을 승인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해 국내 GMP센터의 특정세포가공물 제조 인정을 받아 일본 재생의료기관에 줄기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2종 재생의료 제공계획 최종 승인까지 더해져 일본 재생의료 사업개시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회사
밸류파인더는 18일 강스템바이오텍에 대해 일본 재생의료 시장 진출이 임박했으며, 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 시 모멘텀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연구원은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해 11월,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특정인정재생의료등위원회로부터 2종 재생의료(지방줄기세포), 이달 2월에는 1종 재생의료(제대혈 줄기세포) 제공 계획 승인을 받았
에스바이오메딕스는 망막손상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특허(발명의 명칭 : 줄기세포로부터 망막외곽층세포의 유도 생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가 일본에서 등록 결정됐다.
17일 에스바이오메딕스에 따르면 이번 기술은 망막의 주요 구성 세포이며 손상 시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망막색소상피세포(Reti
이엔셀은 개발 중인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EN001’의 듀센 근이영양증(DMD) 환자 대상 한 단회 정맥투여 임상 1상 결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임상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신경학(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실렸다.
DMD는 진행성 근이영양증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유전성 질환
강스템바이오텍, 日 최초 아토피 치료 위한 제대혈 줄기세포 재생의료 심의위원회 승인
강스템바이오텍은 일본 후생노동성 인증을 받은 특정인정재생의료등위원회로(위원회)부터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1종 재생의료 제공계획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일본은 현지 의료기관에서 국내외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생의료를 진행 중이다. 다만, 자가가 아닌 동
◇테고사이언스
본 게임 시작한 줄기세포치료제
2025 년 본 게임 시작
리서치센터 아이브이리서치
◇LG유플러스
상반기 소각, 근데 이제 또 하반기 매입을 곁들인 …
일회성 비용으로 기대치 하회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투자포인트 - ① 주주환원, ②이익 개선
신은정 DB금융투자
◇대우건설
1회성 이익과 1회성 비용, 변동성이 큰 구간
4Q24 잠정실적:
노화 늦추는 항노화‧저속노화 관심구글‧오픈AI 등 빅테크 기업 진출유전자 가위‧AI가 연구의 ‘Key’
전 세계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며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젊음을 되찾는 ‘안티에이징(항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병을 치료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치료제가 이제 노화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는 20
케이피에스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업체에서 제약·바이오 회사로 변신을 꾀한다. 지분 100%를 인수한 자회사 한국글로벌제약의 흡수합병을 통해서다.
케이피에스는 100% 자회사 한국글로벌제약을 소규모 합병하기로 이사회를 통해 결정했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액 기준으로 사실상 OLED 장비업에서 제약업으로 바뀌게 된 셈이다.
‘전문의약품(ETC
이엔셀은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 개발사인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이달 24일 이엔셀 본사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유전성 망막질환은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유소년 시기부터 야맹증, 터널 시야 등 증상을 겪는 희귀질환으로 일부는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다. 현재까지 실명 원인으로 알려진 유전자만 330여 가지가 넘고, 국내 환자는 약 1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2월 21일부터 시행대상자 일반환자로 확대하고 GMP 기준 완화기업은 수익, 환자는 치료 접근성 높일 수 있어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개정안 시행이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재생의료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임상 연구를 참여하는 환자에만 한정됐던 치료 대상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로 확대하면서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현재 진행 중인 난치성 유전 질환인 A형 혈우병의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술과 관련해 안전하고 효능이 향상된 새 치료기술을 국제학술지인 EMM(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을 통해 최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EMM은 Nature Publishing Group(NPG)을 통해 출간되는 국제적으
이엔셀은 이달 15일부터 17일까지 강원도 홍천 소노캄 비발디에서 열린 2025년 한국줄기세포학회 동계학술대회(2025 KSSCR Winter Conference)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줄기세포학회는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이했으며 국내 약 60여 개의 후원사를 확보해 과학의 본질적 가치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하고 신뢰받는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
에스바이오메딕스는 13일부터 16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초청돼 참석한다고 13일 밝혔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매년 세계 50여 개국 1500여 개 제약·바이오 기업과 벤처캐피탈, 헤지펀드 등 투자기관이 대거 참석하는 업계 최대 규모의 투자 행사다. 올해 컨퍼런스에는 약 550여
정부가 제약바이오산업을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키우겠다고 공언했지만, 최고 기술 보유국으로 평가되는 미국 보건산업 기술 수준보다 2.5년 뒤쳐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한국 보건산업 기술 수준은 중국에도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2024년 보건의료·산업 기술 수준 평가 전문가 설문 및 결과’에 따르면, 산업 분야 3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장에서 상한가 또는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코스닥에서는 지니틱스(29.93%), 파인테크닉스(30.00%), 현대ADM(30.00%)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캐리(-29.87%)는 하한가였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회사인 지니틱스는 지난 8월 최대주주가 기존 서울전자통신 외 2인에서 할로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변경됐다.
영국의 과학 전문 저널 ‘뉴사이언티스트’와 옥스퍼드대 출판부 등이 올 한 해를 관통한 과학 이슈를 담은 ‘올해의 단어’를 최근 공개했다. 올 여름 전 세계를 강타한 지속적인 고온과 폭염의 이유로 꼽히는 히트돔(heat dome·열돔)을 비롯해 줄기 세포(stem cell)과 배아(embryo)의 합성어인 스템브리오 등이 들어있다. 그리고 파동(wave)과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수행 중인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국가 과제가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R&D) 최우수과제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총 191건의 지원 과제 중 우수 과제로 선정된 11개 과제(이 중 최우수 과제는 6건)는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최하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주관하는 2024 대한민국 혁신도전 연구 공개 전(2024 APRO
보험사기와 도덕적 해이 우려로 실손의료보험금 지급이 까다로워지면서 소비자 불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의 혜택을 축소하는 '반쪽짜리' 실손 개혁이 강행될 경우 민원의 늪에 빠지거나 시장이 위축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3분기까지 실손보험 피해구제 신청은 1016건으로 집계됐다
이엔셀은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CMT) 1A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b상 고용량군 환자 대상 투여를 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임상 1b상은 CMT 1A형 환자에게 줄기세포치료제 ‘EN001’을 반복 투여 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해 디자인됐고, 최병옥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가 임상시험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