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MG손보 매각 무산 땐 청ㆍ파산도 검토 가능"

입력 2025-01-16 13:22 수정 2025-01-16 19: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예금보험공사가 MG손해보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포기할 경우 청·파산을 포함한 정리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MG손보 노조에 대한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이다.

예보는 16일 'MG손보 매각 관련 설명자료'를 내고 "약 3년간의 매각 추진 과정에서 유효한 입찰자는 메리츠화재가 유일한 바, 추가 매수 희망자를 찾는 것은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예보는 2022년 4월 MG손해보험이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3차례의 공개 매각을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국내 금융지주, 은행, 보험사, 대형 사모펀드(PEF) 등에 인수 의사를 타진해왔다.

수의계약으로 전환돼 진행한 매각 시도에서 2개사가 참여했는데, 계약 이행 능력 등을 평가한 결과 작년 12월 메리츠화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MG손보가 고용 보장을 요구하며 실사를 거부하면서 메리츠화재는 실사 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예보는 "MG손보 노조의 실사 저지로 인해 실사 착수가 안 되는 상황"이라며 "매수차 측의 실사는 정당한 절차임에도 장소 및 자료 제공 등을 방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보는 실사 진행 어려움으로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포기할 경우 4차 공개 매각, 청·파산, 가교보험사 계약 이전 등 다양한 정리 대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사실상 추가 인수 의향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란 점을 강조하며 청·파산 쪽에 무게 중심을 두는 분위기다.

이 경우 MG손보 보험계약자 124만 명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갈 수 있다. 보험계약자는 예금자보호법상 5000만 원까지 예금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어, 이를 초과하는 금액은 손실을 볼 수 있다. 이들은 계약 해지로 해약환급금보다 적은 금액을 파산배당으로 받게 된다.

예보는 실사를 방해하는 MG손보 노조에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등 법적 조치 검토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배영진 MG손보 노조위원장은 "노조가 실사를 막고 있는 게 아니라 우선협상대상자가 법적으로 요구할 수 없는 경영 관련 민감한 정보와 직원들의 개인정보, 계약자의 기초자료까지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못 준다는 입장"이라며 "법적으로 요구가능한 자료를 구분해 요청하면 법률 자문을 거쳐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이거 대본 아니죠?"…이영자→주병진, 우리는 왜 '중년의 사랑'에 열광할까 [이슈크래커]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 보니 [데이터클립]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45,000
    • +0.11%
    • 이더리움
    • 4,022,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0.1%
    • 리플
    • 3,688
    • -0.38%
    • 솔라나
    • 311,200
    • +1.37%
    • 에이다
    • 1,069
    • +1.23%
    • 이오스
    • 967
    • +3.53%
    • 트론
    • 361
    • -0.28%
    • 스텔라루멘
    • 478
    • -3.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00
    • -1.41%
    • 체인링크
    • 28,340
    • -0.46%
    • 샌드박스
    • 596
    • +1.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