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에 관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투데이DB)](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06194054_2133913_1000_666.jpg)
한국 국가 신용등급이 지난해 정치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가까스로 추락을 비껴갔지만, 시장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확실시되던 2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흐려지면서 지난해 정치 리스크로 위축됐던 민간 소비의 부진이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경기지표들은 연이은 경제성장률 하락을 가리키고 있다.
9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6일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한국은 지난해 계엄·탄핵 사태 영향권에 놓여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등급 하향은 피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썩 좋지 않다. 7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국채 금리는 전 구간 급등 마감하며 약세를 보였다. 국고채 3년물은 전일보다 0.053%포인트(p) 오른 연 2.635%에 마감하며 약 3주 만에 2.6%대에 진입했다. 추락 위기에 놓였던 신용도가 유지했음에도 시장 효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2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다소 흐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6일 외신 인터뷰에서 2월 인하에 대해 “불가피한(not inevitable) 것은 아니다”라며 시장의 기대감을 축소했다. 지난달 금리 동결과 금통위의 비둘기 발언을 통해 2월 인하를 확신하고 있던 시장에는 큰 파문이 일었다.
이 발언은 통화 정책의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향후 인하 횟수도 예상보다 줄어들면서 한국의 금리 인하는 한미간 금리차 확대로 이어면진다. 여기에 고환율 리스크도 부담으로 남아있다.
지난해 4분기 국내 소비가 상당히 위축됐다. 하지만 이는 영구적 손상이 아닌 정치 리스크에 따른 일시적 손상인 만큼 추가경정(추경)을 통해 보완 가능하다는 기대치가 있다. 앞서 이 총재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민간소비 위축은 여전하지만, 15~20조 원 규모의 추경이 단행된다면 계엄으로 둔화한 경제 규모를 회복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런데도 기준금리 인하 지연이 국내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고금리 지속은 국내 기업들의 투자와 경기 활성화를 제약한다. 피치는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을 기존(2.0%)보다 0.3%p 낮은 1.7%로 전망했다. 국가 신용등급 결정에는 경제지표 이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 인구 고령화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다.
2월 동결이 현실화하더라도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지난해 수준의 극단적 신용등급 하향 우위 기조가 올해부터 완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장기 신용등급의 ‘긍정적 전망’은 17개사, ‘부정적 전망’ 31개사로 작년 초 긍정적 전망 6개사, 부정적 전망 29개사와 비교해 긍정적 전망이 많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