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 영향에 ‘보완도’ 고려…“외과의사, AI 노출도 높아도 결국 인간이 수행”
AI 도입, 10년 내 韓 GDP 최대 12.6%까지 견인 가능…고령화 노동 감소 상쇄
![](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0113718_2134812_600_450.jpg)
한국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과 ‘AI와 한국경제’를 함께 연구한 결과 “AI 도입은 한국 경제의 생산성을 1.1~3.2%, GDP를 4.2~12.6% 높일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령화와 노동공급 감소로 인한 성장 둔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는 수치다. AI 도입을 하지 않으면 2023~2050년 동안 한국의 GDP는 16.5%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데, AI 도입 시나리오에 따라 그 감소폭을 5.9%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AI 도입으로 GDP를 13% 가까이 높일 수 있다는 결과는 AI의 경제적 영향을 3가지 시나리오로 측정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시나리오 1(노동 보완)에서는 생산성 1.1%, GDP 8.4%를 각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시나리오 2(생산성 향상)에서는 생산성 2.1%, GDP 4.2% 각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 보완과 생산성 향상이 동시에 영향을 미쳤을 때 생산성은 3.2%, GDP는 12.6% 각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IMF가 먼저 제안하면서 이뤄졌다. 과거 선행 연구들은 AI 도입과 관련해 수혜 직업, 피해 직업 등에 초점을 맞췄는데, 이번 연구해서는 AI 도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보완 정도를 추가로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근로자 절반 이상(51%)이 AI 도입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 가운데 24%는 ‘높은 노출도, 높은 보완도’ 그룹에 속했고, 27%는 ‘높은 노출도, 낮은 보완도’ 그룹에 속했다. ‘높은 노출도, 낮은 보완도’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 직업군이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10113731_2134813_975_358.jpg)
AI 보완도 상위 직업으로 의료 진료 전문가·기업 고위 임원·의회 의원·고위 공무원 및 공공단체 임원·연구·교육 및 법률 관리자 등이 꼽혔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경우 AI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노동시장 정책 측면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AI 준비 지수는 165개국 중 15위, 규제 및 윤리 18위, 디지털 인프라 18위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인적자본 활용과 노동시장 정책은 24위를 기록했다.
오 팀장은 “교육 및 재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targeted policies)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