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 규모가 5년 연속 감소해 2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신규 정규직 중 청년 비중은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39개 공공기관이 채용한 일반정규직(무기계약직·임원 제외)은 1만9920명이었다. 신규 일반정규직 채용은 2019년 4만116명에서 2020년 2만9480명으로 감소했다. 이후에도 계속 줄어 2023년에는 2만207명, 지난해엔 1만 명대까지 내려왔다.
지난해 신규 일반정규직 중 청년은 1만6429명으로 전체의 82.5%였다. 이는 2020년(74.8%)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정부의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목표는 2만4000명(청년 2만 명)이었는데 목표 대비 17% 미달했다. 공공기관 신입사원 초임 평균은 지난해 3872만 원으로 전년(3819만 원) 대비 소폭 올랐다.
지난해 신규 채용이 줄어 목표치에 미달한 이유로는 공공의료기관 채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교육부 산하 11개 병원은 지난해 3228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으며, 전년 대비 40.7% 감소했다. 의대 증원을 두고 촉발한 의정 갈등이 공공의료기관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청년인턴 채용은 2만1239명으로 전년(1만8196명)보다 16.7% 늘었다. 이 중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채용형 인턴 비중은 22.4%(4745명)로 2019년(23.8%) 이후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