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조한 주가 지속·실적흐름 지적소액주주들 공개 주주서한 발송 예고자사주 소각·최저 배당 상향 등개미들, 주총서 안건 상정 예고"
유통가에서 개미투자자(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주주행동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도 저조한 주가 흐름과 실적이 계속되자 주주환원을 확대하라는 요구가 거세졌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이마트·농심 등
올해 AIX 영역 '30% 성장' 목표AIDC 분야 '두 자릿수 성장' 기대연내 '에이닷' 구독형 모델 유료화올해 매출 가이던스는 17조8000억
SK텔레콤은 지난해 인공지능(AI)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19% 성장한 가운데, 올해도 ‘AI 수익화’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AI 클라우드’·‘AI 컨택센터(AICC)’ 등 담당하는 AI
SK텔레콤은 지난해 연결 매출 17조9406억 원, 영업이익 1조8234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 4.0% 증가한 수준이다. 순이익은 1조4388억 원으로 집계됐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3.1%, 13.7% 증가한 4조 4111억 원, 3517억 원이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SK디앤디는 이번 기말 배당금을 400원으로 책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SK디앤디는 이달 10일 보통주 1주당 배당금 400원을 지급한다고 공시했다. 배당금 총액은 시가배당율 8%에 해당하는 74억4243만 원이며, 배당기준일은 3월 31일이다.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 배당금은 보통주 1주당 총 600원으로, 이 중 200원은 중간 배당으로 지급했다
4분기 기준 매출·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창사 최초 렌털 이익 비중 50% 돌파
롯데렌탈이 작년 4분기에 역대 최대 수준의 실적을 올렸다. 작년 연간으로는 매출이 1.8% 늘고 영업이익이 7%가량 감소했다.
롯데렌탈은 작년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313억 원, 영업이익 716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
오리온이 지난해 쌍끌이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해외 판매 호조세에 힘입어 ‘매출 3조 클럽’ 가입은 물론 영업이익도 창사 이래 처음 5000억 원을 돌파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리온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1043억 원, 영업이익 5 436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6.6%, 10.4% 증가한
하나증권은 10일 DGB금융지주에 대해 올해를 기점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1만500원에서 1만15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DGB금융지주가 적자를 시현했음에도 목표주가를 상향하는 이유는 충분한 비용 부담 반영으로 올해 이후 이익 추정치를
신한투자증권이 LG유플러스의 유일한 리스크는 공정위 과징금 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7일 LG유플러스의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만3500원(유지)으로 제시했다. 전날 종가는 1만360원이다.
김아람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밸류업 공시로 주주환원 성향이 40%에서 최대 60%로 상승, 올해 예상주주환원 수익률은 7.9%, 영
LS증권은 7일 BNK금융지주에 대해 수익성 개선으로 적극적인 주주환원이 가능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만4500원으로 기존 대비 7%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외형성장 보다는 수익성 중심 경영기조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적극적 주주환원정책 추진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가 지속 확대되면서
JB금융그룹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지배지분)이 전년대비 15.6% 증가한 6775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 실적이다.
주요 경영지표 부문에서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0%, 총자산이익률(ROA)은 1.06%를 기록했다. 지방은행 최고 수준의 수익성 지표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전년 대비
전년 대비 25.5%↑…4분기 흑자 전환4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
BNK금융그룹은 지난해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전년 대비 25.5% 증가한 8027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자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 증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등 대손비용 감소가 호실적을 견인했다.
지난해 4분기
신한은행, 순이익 3.7조…사상최대 실적으로 '리딩뱅크'올해 6500억 자사주 취득·소각…"올해 핵심 지표 개선 이행"
신한금융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4조5175억 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신한은행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을 제치고 '리딩뱅크' 자리를 꿰찼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
4분기 순이익 4734억원…전년 대비 63.5%↑ "총 1.75조 상회하는 주주환원 이행 예정"
신한금융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4조5175억 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신한금융은 주주환원책 강화를 위해 5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 계획도 내놨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4조5175억 원으로
강남점 거래액 2년 연속 3조 돌파백화점 전체 연간 영업익 7.8% 감소면세점ㆍ패션 사업도 수익성 악화“올해 본업경쟁력ㆍ내실 경영 강화”
정유경 회장이 이끄는 신세계가 작년 3분기 이마트와의 계열분리를 공식화한 이후 첫 연간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고물가와 소비침체 등 영업환경 악화에도 연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며 선방했다. 다만 각종 일회성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순익 5조 원 시대를 연 KB금융의 양종희 회장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약속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KB금융은 상반기 약 52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시작으로 연간 총 1조7600억 원을 주주환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당기순익 5조782억…비은행
신세계가 지난해 경기불황에도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 다만 희망퇴직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하락 곡선을 그렸다.
신세계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47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1% 감소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 기간 매출은 6조5704억 원으로 3.4% 증가했다.
4분기 매출은 1조8212억 원, 영업이익 10
이자수익 15% 증가…주담대 잔액 39% 급증“중저신용자 대출 30% 이상…연체율 안정적 관리”대출이자 외 수익 비중 30% 달성…수익원 다변화고객 수 2488만, MAU 1890만 명 역대 최고치 기록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24% 증가한 4401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연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하나금융그룹이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재차 강조했다. 4000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진행하고 올해부터 연간 현금배당총액 고정ㆍ분기 균등 현금배당을 시행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은 4일 '2024년 연간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3171억 원(9.3%) 증가한
하나은행 당기순익은 전년比 3.46%↓"시장금리 하락ㆍ환율 상승 영향"증권, WM 부문 손님 증대로 '흑자전환'
하나금융그룹이 지난해 3조7000억 원이 넘는 역대 최대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수익 다각화와 체계적 리스크 관리 노력이 시장 기대치에 부응하는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4분기 5135억 원을 포함한 지난해 연간 연결당기
LS증권은 3일 삼성화재에 대해 자사주 소각 계획으로 2028년 재무지표와 밸류에이션 영향이 클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45만 원으로 기존 대비 7%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삼성화재는 지난달 31일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발표하고 보유 자사주중 5% 초과분에 대해 소각을 실시하겠다고 했다"며 "계획대로 4년에 걸쳐 보